이산상봉-금강산 모두 걸린 9·25…南北 다른 속셈

이산상봉-금강산 모두 걸린 9·25…南北 다른 속셈

입력 2013-08-25 00:00
업데이트 2013-08-25 1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북이 지난 23일 적십자 실무접촉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열기로 합의한 ‘9월 25일’은 우리가 북측에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실무회담의 개최 시기로 제안한 날과 같다.

두 날짜가 겹친 것은 단순히 우연이라기보다는 금강산 관광 재개와 이산가족 상봉이라는 굵직한 사안을 놓고 남북이 벌인 치열한 줄다리기의 산물로 분석된다.

정부 당국자는 합의 직후 “(처음 양측이 제시한) 날짜는 각자가 달랐는데 중간에 협의하면서 조정했다”고 말했다.

결국, 우리 측은 금강산 회담 개최 가능성이 있는 다음달 25일 이전에 상봉 행사 개최를 요구하고, 북측은 금강산 회담을 한 이후를 주장하며 양측이 맞서다가 중간 지점에서 절충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조속한 금강산 관광 재개를 최우선으로 두고 그동안의 남북 접촉에 임해왔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남북관계 현안의 단계적 해결 방침을 시사하며 속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대로 이산가족 상봉은 북측보다는 우리가 훨씬 더 아쉬운 사안이다.

이런 상반된 이해관계 속에 양측의 협상 전략에서는 하나의 사안을 나머지 사안을 해결하는 ‘지렛대’로 활용하려는 의도가 엿보였다.

특히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통해 조속한 금강산 관광 재개를 이끌어 내려는 속셈을 분명히 해 왔다.

그동안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이 연계돼 있음을 강조하면서 지속적으로 우리측의 시선을 금강산으로 유도했다.

적십자 실무접촉의 장소로 금강산을 제시했고 다음 달 이산가족 상봉 행사의 장소로도 우리측이 제시한 서울-평양을 끝내 거부하고 금강산을 고집했다는 점에서도 그런 의도는 읽힌다.

반면 우리는 북측이 매달리는 금강산 관광 재개를 담보로 이산가족 상봉 행사의 성공적 개최와 더 나아가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를 끌어내면서 향후 남북관계를 주도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실무회담의 날짜로 제시한 다음달 25일은 애초 이산가족 상봉 시점으로 박근혜 대통령이 기준점으로 언급한 ‘추석(9월19일)’보다는 며칠 뒤다.

북한이 우리측의 ‘내달 25일’ 회담 개최에 ‘8월 말~9월 초’로 시기를 앞당겨 수정 제안했지만, 우리 정부 내 기류는 부정적이다.

정부 당국자는 25일 “금강산 문제는 조급히 움직이는 것보다 여러 상황을 보고 판단해야 한다”며 “회담 때 충돌하지 않고 발전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각자 열심히 궁리한 다음 시간을 두고 만나는 게 좋겠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당초 우리가 제시한 다음달 25일을 회담일로 다시 제안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북한의 ‘8월 말∼9월 초’ 회담 재개 제안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을 이르면 이번주 초 북측에 전달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