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뮤지컬 ‘더프라미스’ 공연취소…연예병사 폐지

軍 뮤지컬 ‘더프라미스’ 공연취소…연예병사 폐지

입력 2013-08-20 00:00
업데이트 2013-08-20 14: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음 달 재공연이 예정됐던 군 창작 뮤지컬 ‘더 프라미스’의 공연이 취소됐다. 연예병사제도가 폐지됨에 따라 내려진 결정이다.
국방부는 다음 달 26일부터 30일까지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재공연하려고 했던 군 창작 뮤지컬 ‘더 프라미스’를 공연하지 않기로 했다고 20일 밝혔다. 연예병사제도가 폐지됨에 따라 내려진 결정이다. 연합뉴스
국방부는 다음 달 26일부터 30일까지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재공연하려고 했던 군 창작 뮤지컬 ‘더 프라미스’를 공연하지 않기로 했다고 20일 밝혔다. 연예병사제도가 폐지됨에 따라 내려진 결정이다. 연합뉴스
국방부는 당초 내달 26일부터 30일까지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무대에 올리기로 했던 이 작품을 공연하지 않기로 했다고 20일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는 “지난달 연예병사제도가 폐지된 상황에서 뮤지컬 공연이 불필요한 오해를 살 수 있다는 우려에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작품에는 연예병사로 복무했던 김무열, 이특, 김호영 등이 출연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육군은 이달 초 이들을 야전부대로 재배치, 일반 병사로 전환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일반 병사의 신분으로도 출연할 수는 있지만 국민정서를 고려해 공연 자체를 취소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방부가 추진한 뮤지컬 사업 전반의 정리 방향에 대해서도 내부 논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더 프라미스’는 6ㆍ25전쟁 정전 60주년을 맞아 국방부, 육군본부, 한국뮤지컬협회가 공동제작한 뮤지컬이다.

지난 1월 초연한 작품에는 연예병사로 복무 중이던 배우와 오디션으로 선발한 병사 등 30여 명이 출연했다.

작품은 6ㆍ25전쟁 북한군의 남침부터 개성-문산 전투, 화령장 전투에 이어 낙동강 전선에 이르기까지 전시 상황을 그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