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 국제회의 일정 축소·후임인사 잡음

장관 국제회의 일정 축소·후임인사 잡음

입력 2012-07-09 00:00
업데이트 2012-07-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교부 한일정보협정 후유증

외교통상부가 한·일 정보보호협정 밀실 처리·보류 파문에 따른 후유증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가까스로 위기를 모면한 김성환 장관은 국회와의 한·일 협정 협의 일정에 밀려 4박 5일에 걸친 외교장관회의를 1박 2일로 줄이게 돼 체면을 구기는 모양새다.

‘책임 떠넘기기’ 발언과 협정 비공개 처리의 실무적인 책임을 지고 자리에서 물러난 조병제 대변인과 조세영 동북아국장의 후임 인사를 둘러싸고도 잡음이 이는 등 내홍을 겪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8일 “김 장관이 10~13일 캄보디아에서 열리는 아세안+3, 한·아세안,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 등 모든 일정에 참석하는 것을 희망했지만 국회 상임위 일정이 11일과 13일로 정해지면서 12일 열리는 ARF 회의에만 참석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아세안 관련 회의가 중요해 외교장관이 빠져서는 안 될 회의이지만, 한·일 협정의 후폭풍이 거센 만큼 국회 협의가 우선이기 때문에 일정을 조정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초 김 장관은 회의 첫날인 10일 한·중, 한·러 외교장관 회담 등도 추진했으나, 일정 축소에 따라 12일 ARF 회의 및 한·미·일 3자 외교장관회담에만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서울신문 7월 2일자 2면> 일각에서는 김 장관이 상임위 보고 과정에서 책임론이 다시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때 아닌 외교부 대변인과 동북아국장 공석에 따른 후임 인사도 뒷말을 낳고 있다. 외교부 내에서는 이미 후임이 내정됐다는 소문이 돌 정도로 관심이 뜨겁다. 이런 가운데 대변인 자리를 놓고 이른바 ‘북미라인’과 ‘동북아라인’이, 동북아국장 자리를 놓고 ‘재팬스쿨’과 ‘차이나스쿨’이 힘겨루기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후임 대변인은 이번 사태를 마무리 짓기 위해 일본을 알아야 한다고 해서 동북아라인으로 기울었으며, 동북아국장은 재팬·차이나스쿨의 장단점을 따져보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외교부 내에서는 후임 인사에 대한 불꽃 경쟁이 벌어지는 것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도 많다. 특히 대변인은 사표가 수리되지도 않았는데 줄잡아 7~8명이 경쟁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당국자는 “이번 사태로 외교부의 사기가 또다시 땅에 떨어졌는데 자기 밥그릇만 챙기는 모양새는 보기 좋지 않다.”며 “장차관 등 간부들은 이번 사태를 어떻게 추슬러 외교부가 다시 심기일전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2-07-09 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