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서해북부 ‘무인기 감시’ 속셈은

中, 서해북부 ‘무인기 감시’ 속셈은

입력 2011-12-01 00:00
업데이트 2011-12-01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교분쟁·탈북단속 가능성

중국이 서해 북부의 북한 접경 해역에서 무인정찰기를 이용한 해양 및 도서 감시를 시작했다.

해양 경제 지속 발전과 불법 행위 단속 등의 이유를 내세웠지만 무인정찰기의 특성상 쉽게 군사 목적으로 전용될 수 있어 실제 의도가 주목된다. 특히 최근 들어 북·중 간의 탈북자 문제 협력이 강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탈북자 단속에 활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관련, 북한과 접하고 있는 랴오닝(遼寧)성은 11월 하순부터 관내 해역과 섬을 대상으로 무인기 시범 관측을 시작했으며 28일까지 다롄(大連)과 진저우(錦州), 판진(盤錦) 등 3개 시 관할 해역 및 섬에 대한 시범 관측을 마쳤다. 장차 관내 15만㎢ 전체 해역과 506개 섬 전부를 대상으로 무인기 관측을 확대할 계획이다.

벌써부터 영해 침범 등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리쯔웨이(李紫薇) 중국과학원 원격탐지응용연구원 교수는 3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랴오닝성 당국이 사용하는 기종은 군사용보다는 고화질 카메라가 장착된 민간용 모델일 것”이라면서도 “운용 과정에서 다른 나라 해역을 침범하기 쉬운 만큼 외교적 분쟁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12-01 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