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북인권특사 방한

美 대북인권특사 방한

입력 2011-09-20 00:00
업데이트 2011-09-20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로버트 킹, 위성락과 면담

북한 인권 문제를 담당하는 로버트 킹 미국 국무부 대북인권특사가 최근 한국에 온 것으로 확인됐다. 킹 특사의 방한은 지난 5월 식량 실태조사를 위해 방북한 후 처음 이뤄진 것이다. 6자회담 재개 및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대화 분위기가 형성된 가운데 한·미 간 대북 식량 지원 등의 협의도 속도를 낼 것인지 주목된다.

외교통상부 당국자는 19일 “킹 특사가 18일 방한해 21일까지 머물면서 정부 및 학계, 시민단체 관계자들을 만날 예정”이라면서 “통상적 협의를 위한 방한으로 특정 주제를 가지고 온 것은 아닌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미국 측이 킹 특사의 방한을 ‘로키’(low key)로 해 달라고 요청해 일정을 비공개로 하게 됐다.”면서 “다만 19일 오후 관련 현안을 총괄하는 위성락 외교부 한반도교섭본부장과의 면담 일정만 공개하게 됐다.”고 말했다.

미국 측이 킹 특사의 방한에 대해 ‘로키’를 유지하는 것은 북측에 잘못된 메시지를 주지 않기 위한 것이라는 관측이다. 킹 특사는 북한의 인권문제 개선 요구와 식량 지원이라는 ‘채찍과 당근’을 모두 맡고 있기 때문이다.

킹 특사는 이날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우리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위성락 본부장과 만나 북한 인권 및 식량 사정 등을 평가하고, 향후 대응 방안에 대해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21일로 예정된 남북 비핵화 회담 및 최근 남북관계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눈 것으로 전해져 대북 지원에 대한 한·미 간 협의가 급물살을 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1-09-20 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