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측 “발포명령 사실 아닌데 뭘 어떻게 사죄하란 건가”

전두환 측 “발포명령 사실 아닌데 뭘 어떻게 사죄하란 건가”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20-05-18 13:26
업데이트 2020-05-18 1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진상규명 목소리 높지만 “할 얘기 없다”
이미지 확대
“왜 책임지지 않나” 질문에 쏘아보는 전두환
“왜 책임지지 않나” 질문에 쏘아보는 전두환 5·18 민주화운동 희생자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기소된 전두환(89) 전 대통령이 27일 광주 동구 광주지법에서 열린 재판에 출석하러 가는 길에 마이크를 들이댄 기자를 바라보고 있다. 전씨는 “수많은 사람이 죽었는데 왜 책임지지 않는가”라는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전씨는 이날 헬기 사격은 없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광주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전두환 전 대통령 측 민정기 전 비서관은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인 18일 5·18 당시 발포 명령자 및 법적 책임자와 관련해 “할 얘기도 없고 하고 싶지도 않다”고 밝혔다. 또 “발포 명령은 사실이 아닌데 어떻게 사죄하라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민 전 비서관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5·18 작전 문제에 관해서는 이희성 당시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이 자신의 책임이라고 상세히 언급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문 대통령은 진상규명 의지를 재확인했다. 특히 5·18의 계엄군 출동과 발포 명령 배후에 당시 군부 실세였던 전씨가 있다는 의혹에 대해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대해 전씨 측은 이희성 당시 계엄사령관이 계엄군의 광주 출동과 현장 작전 지휘에 전권을 가졌고, 전씨는 당시 보안사령관이라서 그 과정을 잘 알지 못한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민 전 비서관은 “5·18 문제 전반에 관해서 전 전 대통령이 해야 할 얘기와 하고 싶은 얘기는 회고록에 자세히 기술했다”며 “어제 문 대통령의 광주MBC 인터뷰에 대해서는 할 말이 더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전씨는 5·18에 대해 책임이 없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국회 청문회 등에서 (입장을) 표명했다. 매년 사죄하라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무엇에 대해 사죄하라는 것인가”라며 “양민에게 무차별 발포 명령을 했다는 데 대해 사죄를 요구한다면 사실이 아닌데 어떻게 사죄하란 것인가”라고 했다.

그는 심지어 “경찰과 계엄군이 시위진압에 지쳐 쉬고 있다가 시위대 버스와 장갑차에 깔려 죽었다”며 “동료들이 눈앞에서 죽어 나가는데 가만히 있을 수 있었겠는가. 지휘관이 사전에 발포를 명령한 상황이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