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청와대 3실장, 긴급재난지원금 전액 기부”

靑 “청와대 3실장, 긴급재난지원금 전액 기부”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20-05-15 17:11
업데이트 2020-05-15 19: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격의료는 의사,환자의 안전한 진료 위한 공공성 측면”
이미지 확대
“악수는 못할 것 같습니다, 인사만 하고 가겠습니다”
“악수는 못할 것 같습니다, 인사만 하고 가겠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취임 3주년 특별연설을 한 뒤 인사를 하기 위해 취재진 쪽으로 걸어가고 있다. 왼쪽부터 문 대통령, 노영민 비서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김상조 정책실장.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에 이어 청와대 비서·정책·안보실장 등 3실장도 긴급재난지원금 전액을 기부한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15일 브리핑에서 “3실장 모두 기부 의사를 밝혔다”고 말했다. 3실장 모두 ‘3인 가족’으로 기부액은 80만원씩이다.

노영민 비서실장은 기부 의사를 전하며 “착한 기부, 착한 소비”라고 말했고, 김상조 정책실장도 “기부도, 소비도 착하다”고 말했다고 강 대변인은 전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7일 긴급재난지원금을 신청하지 않는 방식으로 전액 기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원격의료 도입을 둘러싼 보건의료 관련 사회단체들의 반발에 대해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정부는 여전히 지속되는 코로나19 유행상황에서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보호하고, 향후 예상되는 2차 대유행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비대면 의료체계 구축이 시급하단 판단”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의료 영리화와는 상관없이 비대면 의료체게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의사의 안전한 진료와 환자의 진료받을 권리를 위한 것으로, 오히려 이 자체가 공공성 가질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 허용되고 있는 것은 원격의료가 아니라 비대면 의료”라면서 “코로나19 상황 자체가 비대면의료를 허용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비대면 의료는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한 진료 보장과 감염 우려로 인한 의료 접근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으로, 지난 2월 전화진료 허용에서 시작된 것”이라며 시기적인 불가피성도 덧붙였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