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올 수 있을까…떨어지는 효용, 주호영 선택은

김종인 올 수 있을까…떨어지는 효용, 주호영 선택은

손지은 기자
손지은, 이하영 기자
입력 2020-05-11 01:14
업데이트 2020-05-11 0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선자 84명의 선출직 지도부에 부담
“시작부터 비대위 임기 논란 불필요” 중론
비대위파 장제원 “8월 거부땐 버려야”
이미지 확대
김종인 전 미래통합당 총괄 선거대책위원장 연합뉴스
김종인 전 미래통합당 총괄 선거대책위원장
연합뉴스
주호영 신임 원내대표가 미래통합당의 원내 사령탑으로 확정되면서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추진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1대 국회의원 당선자 84명이 모여 처음으로 선출직 지도부를 꾸린 만큼 비대위 임기 논란을 다시 시작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총선 직후 김종인 비대위 추진을 강력하게 주장했던 장제원 의원은 10일 페이스북에 “8월까지 한시적 비대위원장 취임에 대한 본인(김종인 전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의 의사를 확인하고 만약 거부 의사를 밝힌다면 지체 없이 이 논의를 끝내야 한다”고 했다. 상임전국위원회의 당헌 개정 불발로 비대위 임기가 여전히 8월로 제한된 만큼 김 전 위원장이 8월까지만 비대위를 맡든가 아니면 김종인 비대위 카드를 버리든가 해야 한다는 것이다. 장 의원은 또 “조기 전당대회는 우리만의 리그로 전락할 것”이라며 주 원내대표가 당대표 권한대행을 맡아 혁신위원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통합당 물밑에서도 비대위 회의론이 점차 힘을 얻고 있다. 대구·경북(TK)의 한 의원은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김종인 비대위를 상수로 두지 말아야 한다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부산·경남(PK)의 한 초선 당선자도 “김 전 위원장이 당선자 총회에서 정해 주는 임기를 안 받으면 할 수 없다”며 “지난 총회에서도 우리끼리 해야 한다는 ‘자강론’ 기류가 강했기 때문에 임기 문제가 조율이 안 되면 다른 인물을 쓰면 된다”고 말했다. 주 원내대표는 21대 개원 전 열리는 당선자 총회에서 김 전 위원장의 임기 문제를 논의한 후 당선자들이 원하는 임기를 김 전 위원장이 수용할지를 묻겠다는 입장이다. 당선자들이 원하는 임기를 김 전 위원장이 받아들이지 않으면 비대위를 추진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주 원내대표는 원내대표 경선에서 “임기 조정이 안 되면 완전히 새로운 길을 찾아야 한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한편 김 전 위원장 측은 오거돈 전 부산시장의 성추행 사퇴로 내년 4월 7일 치러지는 재보궐 선거의 판이 커진 만큼 4월까지는 비대위원장 임기가 보장돼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손지은 기자 sson@seoul.co.kr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2020-05-11 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