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군사정보협정 체결 2급이하 군사비밀 직접 공유…美 “환영” 이유는?

한일 군사정보협정 체결 2급이하 군사비밀 직접 공유…美 “환영” 이유는?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16-11-24 02:43
업데이트 2016-11-24 08: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일 군사정보협정 체결
한일 군사정보협정 체결 23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 로비에서 사진기자들이 국방부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조인식 비공개방침에 항의, 카메라를 내려놓고 취재를 거부하고 있다. 항의하는 사진기자들 사이로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일본대사가 조인식장으로 향하고 있다. 국방부는 협정조인식 사진을 제공키로 했으나 사진기자들의 공개요구에 반발, 나승룡 대변인실 공보과장은 “사진 제공도 하지마라”는 등의 발언을 서슴지 않는 등 기자들의 공분을 샀다.
한국과 일본은 23일 양국 군사정보의 직접적인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군사정보보호협정을 체결했다. 1945년 광복 이후 한국과 일본이 체결한 첫 군사협정이다.

이에 대해 미국 국방부는 “우리는 그동안 한국과 일본 양국 간의 안보협력을 향상하기 위한 노력을 지지해 왔다”면서 “이번 군사정보보호협정은 매우 중요하고 긍정적인 조치”라고 평가했다.

미국 정부는 그동안 한미일 3각 협력과 더불어 한일 양국 간의 협력 확대 필요성을 강조해 왔다.

쿡 대변인은 이어 “양국이 역내 안보위협(대처) 문제와 관련해 계속 협력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