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무인기, 북한서 보낸 것이 아닐 가능성이 크다”

정청래 “무인기, 북한서 보낸 것이 아닐 가능성이 크다”

입력 2014-04-12 00:00
업데이트 2014-04-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1일 대전시 유성구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열린 북 추정 무인기 중간조사결과 발표에서 김종성 UAD 체계개발단장이 무인기에 탑재된 부품과 카메라 재원 등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11일 대전시 유성구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열린 북 추정 무인기 중간조사결과 발표에서 김종성 UAD 체계개발단장이 무인기에 탑재된 부품과 카메라 재원 등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정청래 무인기’

새정치민주연합 정청래 의원은 11일 잇달아 발견된 무인기들이 북한의 소행이라는 정부 발표와 관련해 “북한에서 보낸 게 아닐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정청래 의원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북한 무인기에 적힌 ‘서체’에 대해 “우리 아래아 한글(서체)라며 “북한 무인기라는데 왜 아래아 한글 서체가 붙어 있느냐”고 주장했다.

이어 “날짜가 아니라 ‘날자’라고 쓰여 있어 북한 것이라고 하는데 북한은 보통 ‘광명 납작체’를 쓴다”면서 “이것은 코미디다. 북한은 연호를 보통 사용하는데 이것은 그것도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류길재 통일장관은 “북한에서 보통 쓰는 서체는 아니다”라면서도 “그런 것을 갖고 북한 것이냐 아니냐를 따지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답했다.

정청래 의원은 또 “’S33109’ 이런 것이 붙어 있는데 보통 (일련번호가) 북한·은하 이렇게 시작한다”면서 “북한 무인기라면 왕복 270㎞를 날아야 하는데 그렇게 하려면 5㎏의 가솔린을 탑재해야 한다. (중량) 12㎏짜리 무인기가 5㎏ 배터리를 장착하면 뜰 수가 없다고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정청래 의원은 “북한 무인기라고 소동을 벌인 것에 대해 누군가 응당한 책임을 져야 할 날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정청래 의원의 주장은 무인기가 북한 것이 아니라는 일부 시민단체 및 학계의 주장과 일치하는 것으로, 사안의 중요성과 강도는 다르지만 지난 2010년 천안함 침몰 사건 당시 침몰 원인이 북한의 어뢰 공격이라는 국제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를 놓고 일었던 논란과 유사한 상황이 재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