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형 총리-실세 경제부총리 체제, ‘박정희 모델’ 연상

통합형 총리-실세 경제부총리 체제, ‘박정희 모델’ 연상

입력 2013-01-21 00:00
업데이트 2013-01-21 10: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안전-경제부흥’ 역할 분담 가능성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정부 조직개편에서 밝힌 국무총리-경제부총리 라인업이 부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 당시 체제와 흡사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정의 최우선 순위인 경제성장을 실세 경제부총리에게 맡기고 비경제 분야의 관할은 통합형 인사를 총리에 앉혀 역할을 분담하는 방식이 ‘경제기획원(EPB)’을 중심에 두고 경제부흥 등 국정 최우선 과제를 이끌었던 박 전 대통령의 리더십 모델을 떠올리게 한다는 것이다.

경제기획원은 박 전 대통령 시절 압축성장을 주도한 핵심부처다. 박 전 대통령은 1961년 5ㆍ16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이후 재무부와 기획처, 부흥부를 통합해 경제기획원으로 확대개편하고 1963년 경제기획원 장관을 부총리로 승격시켰는데 이것이 경제부총리 제도의 효시가 됐다.

경제정책과 예산권을 쥔 경제부총리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해외 차관과 같은 자금의 동원과 운영 등 한정된 자원의 조달과 배분에 필요한 경제정책을 종합적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산업화의 시드머니가 된 외자 도입, 중화학공업 육성, 수출 드라이브 정책 등이 모두 박 전 대통령의 전폭적인 신뢰 속에 막강한 힘을 발휘한 경제기획원의 작품이었다.

박 당선인이 이명박정부 때 폐지된 경제부총리제를 부활할 정도로 경제위기 극복과 경제부흥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명한 것은 박 전 대통령 시절 경제기획원의 경험을 되살린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로 경제부총리를 맡을 기획재정부 장관은 경제정책과 조세, 예산 기능을 모두 지니고 있어 박 전 대통령 시절 경제기획원까지는 아니더라도 선임 부처로서 막강 파워를 행사할 여건을 갖추고 있다.

박 당선인이 ‘제2의 새마을운동’을 거론하고 ‘일자리가 최고의 복지’라는 소신을 밝힐 정도로 경제부흥에 강한 의지를 피력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경제 분야는 경제부총리가 관련 부처를 총괄하면서 권한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박 당선인의 공약 이행 재원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는 상황이어서 복지나 과학기술 분야의 컨트롤타워가 신설되더라도 결국 정책조정권과 예산편성권을 쥔 경제부총리가 더큰 힘을 발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경제부총리가 ‘박근혜 정부’의 핵심부서인 미래창조과학부나 보건복지부에도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경제부총리의 위상 강화는 국정 전반을 관장하는 총리의 정책 조정기능과 충돌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책 입안 과정에서 합리성과 효율을 내세운 경제부총리의 경제 논리가 주도권을 행사하면 사회통합과 정치적 배려를 감안할 수밖에 없는 총리와 마찰을 빚을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박 당선인이 정부조직 개편시 경제부흥과 국민안전을 국정철학으로 제시한 것은 경제부흥을 경제부총리, 국민안전을 총리가 각각 역점을 둘 분야로 하는 역할분담을 염두에 둔 결과 아니냐는 해석까지 나온다.

한성대 이창원 교수는 21일 “박 당선인은 통합형 총리와 실세형 경제부총리를 앉혔던 박 전 대통령 모델로 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며 “이 경우 기획과 예산 기능을 가진 경제부총리에 힘이 쏠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정치평론가 고성국 씨는 “박 당선인은 경제위기를 돌파해야할 필요성도 있지만 경제기획원과 같은 컨트롤타워에 굉장히 익숙해있을 것”이라며 “대통령이 상당한 신임과 힘을 실어 경제부총리를 임명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