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당ㆍ시민ㆍ정책 중심 선대위 구성”

문재인 “당ㆍ시민ㆍ정책 중심 선대위 구성”

입력 2012-09-19 00:00
업데이트 2012-09-19 11: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주 침수피해, 4대강 영향 규명 필요”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 후보의 선거대책위원회는 당ㆍ시민ㆍ정책 등 3개의 축을 수평적으로 운영하는 방식으로 꾸려질 전망이다.

문 후보는 19일 오전 대선기획단인 ‘담쟁이 기획단’의 첫 공개회의에서 선대위를 과거 수직적 체계가 아니라 수평적 체계로 꾸리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 기획단은 선대위 구성과 선거전략의 밑그림을 그리는 작업을 맡는다. 이날 회의에는 기획위원인 노영민 박영선 이학영 의원과 김부겸 전 의원이 참석했다. 20일에는 민변 회장 출신의 백승헌 변호사를 포함한 외부인사 2명을 발표한다.

문 후보는 “기획단은 단장을 두지 않고 전부가 단장이자 위원인 수평적 관계로 운영하겠다”며 “선대위도 과거하고는 다르게 전혀 새로운 모습으로 그릴 것”이라고 말했다.

문 후보가 구상하는 선대위는 3개 축으로 나뉜다. 과거 당이 주도하는 선대위에서 탈피해 시민 참여와 정책의 비중을 높인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우선 당내 인사가 참여하는 ‘민주캠프’가 있다. 이 캠프는 탈계파를 목표로 화합과 쇄신을 동시에 달성하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

문 후보는 “민주캠프는 화합형으로, 용광로처럼 모든 계파를 녹이는 형태로 구성된다”며 “대단히 개혁적이고 혁신적인 모습으로 구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후보는 당내 일각에서 이해찬 대표-박지원 원내대표 등 이른바 ‘투톱 2선 후퇴론’과 ‘친노(親盧ㆍ친노무현) 백의종군론’이 제기되지만, 선대위에 이들을 모두 포함시키되 친노 인사들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는 방식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 외부의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인 ‘시민캠프’도 중요한 축이다. 시민캠프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기반의 온ㆍ오프라인 결합형 시민정치 조직으로, 문 후보의 팬클럽과 자발적 지지자들이 모이는 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는 야권 후보단일화 경쟁자인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시민후보’를 자임하며 캠프 자체를 사무실 형태가 아닌 ‘SNS 캠프’ 방식으로 꾸릴 예정인 상황에서 문 후보가 시민캠프 카드로 맞불을 놓은 것이라는 관측도 낳는다.

문 후보는 정책 부각을 위한 ‘미래캠프’ 구성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미래캠프는 문 후보가 후보 수락연설 때 밝힌 일자리혁명, 복지국가, 경제민주화, 새로운 정치, 평화와 공존 등 5개 과제에 대한 특위를 만들어 이를 구체화하는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문 후보는 전날 태풍 피해지역인 경북 성주를 방문했다고 소개한 뒤 “경북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조속하게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성주는 허리까지 물이 찰 정도로 침수피해를 봤다. 주민들은 아래쪽에 보가 만들어져 물 흐름이 늦어지고 수위가 올라가니까 역류현상이 생겼다고 보고 있었다”며 “4대강 영향이 아닌지 제대로 규명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