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이재오 공천’ 후유증… 김종인 사퇴시사

새누리 ‘이재오 공천’ 후유증… 김종인 사퇴시사

입력 2012-02-28 00:00
업데이트 2012-02-28 15: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천 최종권한 해석 분분..비대위원장 추천 필요

새누리당이 ‘이재오 공천’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

그간 친이(친이명박)계 핵심인 이재오 의원에 대한 공천 반대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혀 온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이 28일 비대위원 사퇴 가능성까지 내비치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더욱이 최종적인 공천 권한을 둘러싸고 양대 축인 비대위와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가 갈등을 빚고 있어 공천갈등은 쉽게 사그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박근혜 비대위원장까지 비판하고 있는 김 비대위원이 사퇴결행 등 극단적 선택을 할 경우 파장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김 비대위원은 이날 정책쇄신분과위 회의를 주재하면서 “기본적으로 공천의 방향을 잘못 잡은 거 같다”면서 “어제 공천 발표하는 것을 보니까 더 이상 논의할 필요도 없는 것 같다. 아무리 좋은 것을 만들어놨다 해도 그것을 인식하고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사람이 없을 것 같다”고 비판했다.

그는 박 비대위원장에 대해 “태도가 굉장히 모호하다고 생각한다”, “(이재오 공천은) 박 비대위원장이 알아서 했겠지. 내가 어떻게 아느냐”, “박 비대위원장 의중은 공천위와 같은 것 아니냐”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비대위 정책쇄신분과는 오늘이 마지막”이라고도 했다.

이는 이 의원 공천에 대한 노골적 불만을 드러낸 것인 동시에 자신의 뜻이 끝내 관철되지 않을 경우 새누리당을 떠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읽힌다.

김 비대위원의 공개 반발로 이 의원 공천을 둘러싼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당장 김 비대위원과 함께 이 의원 공천을 강력 반대한 이상돈 비대위원이 가세했다.

그는 이날 S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비대위 내부에서 이 의원에 대한 공천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해 재의를 요청한 것인데 불과 한두 시간 만에 또다시 뒤바뀌는 일이 발생했다”면서 “앞으로도 논란이 될 가능성이 많다”고 말했다.

또 ‘공천은 결국 비대위가 최종 권한을 갖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그런 발언이 과연 적절한 것인지 생각해 볼 여지가 있지만 (결국) 비대위 책임으로 공천을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대위의 재의 요구에 이은 공천위의 재의결 결정으로 이 의원에 대한 공천이 확정됐지만, 비대위 회의 및 공천장 수여 과정에서 정치적으로 계속 문제를 삼겠다는 취지로 보인다.

더욱이 이 의원이 선거관리위원회에 새누리당 후보로 등록하려면 비대위원장의 추천이 필요한 상황이라 김종인 이상돈 두 비대위원이 그 과정에서 압력을 행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당헌에 명시돼 있는 비대위원장 추천 조항 때문이다.

현행 당헌 제48조 5항과 당규의 공천위 규정 제10조는 최고위원회(비대위)의 재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공천위 재적 3분의 2 이상 찬성 시에는 최고위는 그 결정에 따라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

하지만 당헌 제97조 ‘지역규 국회의원 후보자 추천’ 규정에는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자는 중앙당 공천위 심사와 최고위 의결로 확정되며 대표 최고위원(비대위원장)이 추천한다고 명시돼 있다.

공천위의 재의결 절차로 이 의원에 대한 공천은 확정됐지만, 마지막에 박 비대위원장이 추천해야 후보 등록이 가능한 셈이다.

이에 대해 이 의원과 친이계는 반응을 자제하고 있다.

이미 끝난 사안에 대해 왈가왈부해 봤자 괜한 논란에 휘말릴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정치적으로 문제삼는 김종인 이상돈 두 비대위원에 대해 대응하지 않겠다는 취지로 보인다.

친이계 한 의원은 “절차에 따라 공천은 확정됐고 모두 다 정리된 사안”이라고 말했다.

다만 친이 일각에선 “개인의 취향에 맞지 않으면 무조건 반대하는 것이냐. 두 사람이 너무 나가는 것 아니냐”며 두 비대위원을 비판했다.

핵심 당직자도 “결론이 난 마당에 계속 문제를 삼는 것은 모양새가 좋지 않다”고 지적했다.

현재로선 박 비대위원장이 이 의원 공천을 거부하거나 후보 추천권을 행사하지 않을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실제 박 비대위원장이 애초부터 이 의원 공천을 반대하지 않았다는 게 대부분 친박 의원들의 전언이다.

여권 관계자는 “당분간 공천잡음이 있겠지만 결국 잘 정리되지 않겠느냐”면서 “다만 김 비대위원 등이 앞으로 어떻게 나올지가 걱정”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