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에 합의했다 아침엔 파기…선거구 획정 다시 원점

밤에 합의했다 아침엔 파기…선거구 획정 다시 원점

입력 2012-02-25 00:00
업데이트 2012-02-25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합의 뒤 파기의 연속이다. 4·11 총선이 47일 남은 가운데서도 여야의 선거구 획정 협상이 여전히 표류하고 있다. 여야는 지난 23일 중앙선관위원회에서 마련한 방안대로 전체 의석수를 299석에서 300석으로 늘리기로 잠정 합의했지만, 24일 오전 최종조율에 실패하면서 합의안이 다시 파기됐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24일 공직선거법심사소위와 전체회의를 열어 여야 잠정합의안대로 선거구 획정 관련 법안을 처리할 계획이었지만, 합의가 이뤄지지 않자 회의를 전격 취소했다.

새누리당 주성영 간사는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합의안이 파기된 게 벌써 몇 번째인지 모르겠다. 모든 게 원점으로 돌아갔다고 보면 된다.”고 밝혔다. 민주통합당 김진표 원내대표 역시 “민주당 입장은 ‘3+3 획정안’으로 변함 없다.”고 말했다. 여야는 19대 총선에 한해 전체 의석수를 300석으로 늘리자는 주장도 여론 비판을 이유로 힘들 것으로 여기고 있다.

여야가 ‘자기 밥그릇 챙기기’에만 몰두하고 있다는 비판은 날로 거세지고 있다. 선관위 중재안에 포함된 ‘국회 선거구획정위원회 상설기구화’ 같은 핵심 의제도 역시 원점으로 돌아간 셈이다. 선거를 앞두고 지역구 조정을 위해 임시로 운영되는 선거구획정위원회는 국회에 선거구획정안을 제출할 의무만 있을 뿐, 관련 법안 개정은 정개특위에서 여야 합의로 이뤄지도록 돼 있어 ‘고양이에게 생선 맡긴 격’이라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지난 22일부터 시작된 재외선거인 명부 작성도 지지부진이다. 정개특위 여야 간사는 이날까지 선거구 획정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하면 사퇴하겠다며 배수진을 쳤지만, 합의를 주말 이후로 넘기고 말았다.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2-02-25 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