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수장학회 해법 고심

박근혜, 정수장학회 해법 고심

입력 2012-02-23 00:00
업데이트 2012-02-23 11: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근혜 ‘불개입’ 입장 유지… 주변 인사들 “이번에 털어내야”

새누리당 박근혜 비대위원장이 4ㆍ11 총선 전에 정수장학회 논란을 끝내는 쪽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야권의 ‘타깃’이 되면서 “털어버리자”는 주변 건의가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박 비대위원장이 직접적으로 입장표명을 하기보다는 정수장학회 이사진이 공익성 강화 등 진로를 자율 결정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수장학회측의 입장 발표가 임박했다는 얘기도 나온다.

박 비대위원장은 지금까지 정수장학회에 대해 불개입 입장을 취해왔다.

지난 20일 방송기자클럽 토론회에서도 “저는 2005년 이사장직을 그만둬 그 후로 장학회와 관련이 없다”고 거리를 뒀다.

23일 당 비상대책위 후 기자들의 질문에도 그는 “(토론회에서) 얘기한 것 외에 아무 얘기도 한 게 없다. 지금 변화된 게 있느냐”고 물었다.

실제 박 위원장은 장학회에 대한 법적권한이 없고, 장학회 업무에 간여하지 않고 있다는 게 지인들의 설명이다.

그러나 그가 이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이유는 그의 선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을 모시고 일했던 최필립씨가 현재 이사장을 맡고 있기 때문이다.

정수장학회는 지난 1982년 5ㆍ16 장학회에서 이름이 바뀌었다.

부산의 기업인이자 언론인이었던 고(故) 김지태씨가 설립한 부일장학회가 박 전 대통령이 5ㆍ16 쿠데타로 집권한 직후인 1962년 5ㆍ16장학회로 바뀌는 과정에서 고인이 자발적으로 헌납했느냐, 아니면 강제로 내놓았느냐를 두고 논란이 일었다.

박 비대위원장은 그간 정수장학회는 헌납된 것이라는 입장이었으나 야권은 최 이사장이 박 위원장과 가까운 인사인만큼 장학회의 소유권이 사실상 박 이사장에게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거두지 않았다.

야권의 잠룡인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은 최근 ‘정수장학회는 부일장학회가 강탈당한 장물’이라는 논리로 이를 과거사의 범주로 묶었다.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도 “박 위원장은 정수장학회를 사회에 환원하는 일부터 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친박(친박근혜) 진영의 한 인사는 23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대권을 향해 진검승부를 해야 하는데 이 문제를 이대로 지나갈 수는 없다”고 말했다.

또다른 인사도 “야당이 계속 문제를 제기할텐데 박 비대위원장이 무조건 ‘저와 관계없다’고 하면 국민이 납득을 하겠는가”라고 말했다.

이상돈 비대위원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수장학회 해법에 대해 “장학회 이사진에게 공이 가버린 것이 아닌가”라고 말했다. 이사진의 결정으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친박 인사들은 최 이사장이 퇴진하고 정수장학회가 공익성을 찾는 쪽으로 가더라도 박 위원장이 나서서 이를 유도하거나 영향력을 행사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