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공천 東進 거세다

민주 공천 東進 거세다

입력 2012-02-13 00:00
업데이트 2012-02-13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남 후보신청 10배 급증…친노 가세로 脫호남 바람

민주통합당 4월 총선 후보공천 신청 마감 결과 절대열세를 면치 못했던 영남 지역 신청자가 크게 늘어났다. 서울 등 수도권도 18대 총선 때와 비교해 2배 가까이 공천희망자가 늘어 최근의 상승세를 수치로 입증했다.
이미지 확대
강철규(맨 오른쪽) 민주통합당 공직선거후보자 추천심사위원장이 12일 오후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열린 공심위 회의에서 백원우(오른쪽 두번째) 공심위 간사의 보고를 받고 있다. 백 간사 왼쪽 옆으로 공심위원인 최영희 전 최고위원, 박기춘 전 원내수석부대표.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강철규(맨 오른쪽) 민주통합당 공직선거후보자 추천심사위원장이 12일 오후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열린 공심위 회의에서 백원우(오른쪽 두번째) 공심위 간사의 보고를 받고 있다. 백 간사 왼쪽 옆으로 공심위원인 최영희 전 최고위원, 박기춘 전 원내수석부대표.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열린우리당의 붕괴로 정통 호남세력과 친노(친노무현) 세력이 갈리면서 총선 경쟁력을 상실했던 18대 총선 때와 달리 두 진영이 야권 통합으로 단일대오를 형성한 시너지 효과가 공천 신청에 여실히 드러난 것으로 평가된다. 당의 숙원인 동진(東進)을 통해 명실상부한 전국정당으로 도약할 가능성도 보였다는 분석도 나온다.

민주당이 12일 공천 신청을 마감한 결과 신청자가 전무하다시피 했던 18대 총선과는 달리 약세지역인 영남권 전체 선거구 68곳에 87명의 신청자가 몰렸다. 통합을 통해 친노 세력과 시민사회 세력이 민주당에 대거 진입하면서 호남 일변도의 구도를 벗어나 수도권과 영남권으로 공격적인 진출을 하고 있는 모양새다. 영남 평균 경쟁률은 1.26대1로 18대 총선 경쟁률인 0.13대1에 비해 10배 가까이 증가했다.

☞ 민주통합당 공천신청자 명단

당시 영남권 선거구에는 9명만 신청했다. 18대 총선 당시 6개 선거구를 통틀어 신청자가 전무해 경쟁률 0을 기록했던 울산은 이번에 9명의 신청자가 몰려 1.5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노무현 대통령의 고향인 봉하마을이 있는 경남의 경쟁률은 영남권에서 가장 높은 1.76대1로 나타났고, 야권의 유력 대권주자인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과 문성근 최고위원 등 친노세력이 대거 출마하는 부산은 1.5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18대 총선 당시 부산 18개 선거구에 3명만 공천을 신청, 0.2대1의 경쟁률을 보였던 것에 비하면 그야말로 격세지감이다. 대구 지역도 김부겸 최고위원의 출마에 힘 입어 12개 선거구에 10명의 지원자가 몰렸다. 18대 총선 당시 대구에는 단 1명만 공천을 신청했었다.

영남권, 수도권으로 후보자가 몰리면서 민주당의 전통적 텃밭인 호남권 쏠림 현상은 수그러들었다. 18대 총선 당시 무려 6.8대1에 달하던 호남권 평균 경쟁률은 이번에 4.01대1로 줄었다.

이현정기자 hjlee@seoul.co.kr

2012-02-13 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