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모바일투표 카드로 총선 여론몰이

민주, 모바일투표 카드로 총선 여론몰이

입력 2012-02-06 00:00
업데이트 2012-02-06 1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통합당은 4ㆍ11 총선에서 공천혁명과 흥행몰이를 위한 카드로 모바일투표를 선택했다.

민주당은 6일 오전 최고위원회의와 당무회의를 잇따라 열고 총선 후보자 선정 시 모바일투표를 전면 도입하는 내용의 공직후보자 선출 관련 당규와 시행세칙을 의결했다.

민주당이 모바일투표를 도입키로 한 것은 작년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야권 후보단일화 경선과 1ㆍ15 전당대회 당대표 경선 때 모바일투표의 위력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모바일투표는 이 두 번의 경선을 거치면서 정치권의 고질적 병폐로 꼽히던 돈선거의 폐해를 극복하고 조직력을 넘어 민심을 적극 반영하는 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전당대회 때는 80만명에 육박하는 선거인단이 몰려들 정도로 국민적 관심을 모았듯이 전국 선거인 총선 공천 경선을 제대로 설계해 시행하면 총선에 앞서 민주당의 지지세를 확산하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판단도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선거인단 수(數)가 지역구 유권자의 2%에 미달하면 동원경선의 폐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여론조사를 30% 반영하고, 경선 후보들이 합의하면 100% 여론조사만으로 후보를 선출할 수 있도록 했다.

민주당은 모바일투표 신청자가 해당 지역구에 주민등록이 돼있는 사람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선거법 개정이 전제돼야 한다고 보고 한나라당의 협조를 촉구하고 있다.

한명숙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바일투표는 낡은 정치를 청산하고 정치를 쇄신할 가장 좋은 방법”이라며 “새누리당이 민주당의 제안을 묵살하고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것은 국민의 요구를 무시하는 것”이라고 압박했다.

민주당은 법 개정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 현행법 테두리 내에서 모바일투표를 도입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도 골몰하고 있다.

당 관계자는 “선거인단의 주소지가 해당 지역구인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라며 “현재도 이를 확인할 방법이 있긴 하지만 신청 과정에 유권자의 불편함이 생기기 때문에 신청률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 고민”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