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생명의전화’ 이용자 절반 일ㆍ이병”

“육군 ‘생명의전화’ 이용자 절반 일ㆍ이병”

입력 2011-09-20 00:00
업데이트 2011-09-20 11: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옥이 의원 “육군내 5.6일에 한명꼴 자살”



육군에서 자살 위기자를 상담하기 위해 운용하는 ‘생명의 전화’ 이용자의 절반이 일ㆍ이병인 것으로 나타나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국방위 김옥이 의원(한나라당)이 20일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생명의 전화’ 상담 건수 가운데 신원이 확인된 3천556통 중 일병과 이병 이용자가 각각 20.9%(743통)와 30.5%(1천85통)를 차지했다.

상병은 18.7%(665통), 병장은 5.0%(179통)였다.

간부 이용자도 24.9%(885통)를 차지했다. 부사관 이용자가 14.3%(509통)로 가장 많았고 위관장교 6.0%(214통), 영관장교 4.6%(162통)로 뒤를 이었다.

육군에서는 2006년 이후 지금까지 전체 인명사고의 69.6%인 353건(병사 331명 포함)의 자살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연평균 65.2명꼴로, 5.6일에 한 명씩 스스로 목숨을 끊는 셈이다.

김 의원은 “자살 위기 상담자의 절반이 군 생활을 막 시작하는 일ㆍ이병이라면 더욱 세심한 위기관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하고 “군의 중추 역할을 하는 간부들이 자살 위기를 느낀다는 현실에 대해 군은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군 내 종교신자는 2006년 43만 7천656명에서 지난해 37만66명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별로는 기독교가 20만656명(54.2%)으로 가장 많았고 불교 10만923명(27.3%), 천주교 6만6천23명(17.8%), 원불교 1천736명(0.45%) 등의 순이었다.

김 의원은 “군 내 신세대 장병의 자살 등 각종 사고가 잦은 상황에서 종교가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군종 병과가 더욱 역할을 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