록히드마틴 “F-35구매시 스텔스기술 이전 가능”

록히드마틴 “F-35구매시 스텔스기술 이전 가능”

입력 2011-09-15 00:00
업데이트 2011-09-15 15: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6∼2017년 인도시 기체값 대당 7천만 달러”

공군의 차기 전투기(F-X) 3차 사업에 참여할 미국의 록히드마틴사는 지난 8일(미국 현지시각) “한국 정부가 F-35를 구매한다면 스텔스(stealth) 기술을 이전할 수 있다”고 밝혔다.

록히드마틴사 고위 관계자는 이날 미 텍사스주 포트워스에 있는 F-35 생산기지를 방문한 한국 기자들과 간담회에서 전투기 핵심기술 이전 의사를 밝히며 F-X 3차 사업에 참가 의사를 강력히 피력했다.

그는 “F-35는 한국의 미래를 위한 최적의 선택이고, 우리는 한국이 요구하는 모든 사항을 충족시켜줄 준비가 돼 있다”면서 “(요구 사항에는) 스텔스 기술도 당연히 포함된다”고 말했다.

설계 단계부터 스텔스 기능을 적용해 개발된 F-35는 안테나와 교란장치, 엔진, 무기까지 모두 내부에 탑재해 적기의 레이더 추적을 피하도록 했다. 이 때문에 F-35는 F-22(랩터)와 함께 ‘5세대 전투기’로 불린다.

이 회사의 다른 고위 관계자는 “한국이 F-35 구매 결정을 하고 이를 인도받게 되는 시기인 2016∼2017년에는 올해 물가 기준으로 기체 값만 대당 7천만 달러(약 770억원)에 판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가격은 생산 첫해부터 투입된 총비용을 생산 대수로 나눈 가격으로, 생산비용뿐 아니라 생애주기(총수명주기) 비용을 포함하고 있다”면서 “부품조달 계획과 무기 추가장착 등의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초도생산 4년차에 들어간 F-35의 기체가격은 1억2천만 달러다.

록히드마틴사가 제시한 기체 가격 7천만 달러는 각종 첨단 전자장비와 무기 등을 제외한 것으로 실제 장비 등을 장착해 완성하면 우리 공군이 보잉에서 도입한 F-15K 대당 가격(1천억원)의 1.5~2배에 이를 것이란 추산이다.

3천억 달러 규모의 F-35 프로그램에는 미국과 영국, 캐나다, 터키, 이탈리아, 노르웨이, 덴마크, 호주, 네덜란드 등 9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포트워스에 위치한 F-35 생산공장은 9만2천900여㎡의 거대한 규모로 1.6km의 생산 벨트에 로봇 등 각종 첨단 자동제어장치로 구성돼 있으며 기술ㆍ관리 인력 4천여 명을 포함해 총 6천여 명이 근무한다.

현재는 한 달에 1대꼴로 생산되고 있지만 2016∼2017년에는 매일 1대씩 생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스텔스급 전투기 60대를 도입하는 F-X 3차 사업은 내년 10월께 기종이 선정될 예정이며, F-35(라이트닝Ⅱ)와 보잉 F-15SE(사일런트 이글), 유럽항공방위우주산업(EADS)의 유로파이터 타이푼(개량형)이 후보기종으로 경쟁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