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유사시 美증원군에 30~40조원 물품제공”

“한국, 유사시 美증원군에 30~40조원 물품제공”

입력 2011-09-13 00:00
업데이트 2011-09-13 09: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군 철수시 대체전력 확보에 23~36조원 이상 소요

우리 정부는 미국과 협정에 의해 전시에 증원되는 미군 전력에 30~40조원어치의 물품을 제공해야 할 것으로 추산됐다.

국방대학교 관리대학원 권헌철 교수는 13일 이 대학교가 발간한 ‘국방연구 8월호’에 기고한 ‘주한미군의 가치 추정’이란 제목의 논문을 통해 “한국과 미국은 전시지원에 관한 정부간 합의각서(WHNS MOU)를 체결해 전시에 전개되는 미군 증원전력에 각종 물품을 제공해야 한다”고 밝혔다.

권 교수는 “우리 정부는 전시에 탄약과 통신, 물자, 장비, 서비스 등 1천300여 개의 품목을 미군에 제공해야 한다”면서 “이 품목은 30~40조원어치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이런 액수는 국방부 군수관리관실을 통해 추산된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권 교수는 “조력자(한국)의 입장에서 제공하는 액수를 통해 전시 증원전력의 가치를 추정하면 조력자 제공액의 5~10배에 달하는 150~4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현재 주한미군이 보유 중인 장비 가치는 17~31조원으로 평가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방부 내부 자료를 인용해 주한미군의 주요 장비는 대당 340억원의 F-16 전투기 86대, 대당 600억원의 A-100 대전차 공격기 27대, 1천억원 상당의 227㎜ 다연장로켓(MLRS) 30여문 등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MLRS는 로켓 12발을 장착하고 1발 가격은 1천600만원이며, 로켓 1발에는 수류탄과 위력이 비슷한 자탄 644발이 들어 있어 축구장 1개 면적을 초토화할 수 있다.

미 2사단이 보유한 AH-1 코브라, CH-47 치누크, HH-60 등의 헬기 자산만 2조원으로 추산됐다.

주한미군이 보유한 전쟁예비탄(WRSA)도 10만t에 달하며 금액으로는 6조원에 이른다. 이는 한국군이 매년 교육훈련을 위해 사용하는 예산 연간 2천억원을 30년간 투자해야 구매할 수 있는 양이다.

여기에다 주한 미 육군은 한국 육군의 12.5%, 공군은 16.7%의 상대적인 전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2조7천380억원에 이른다고 권 교수는 주장했다.

그는 “미군 철수를 가정해 주한미군 전력을 대체하려면 23~36조원 이상의 비용이 소요되고 이에 따른 국방비 부담률은 GDP(국내총생산) 대비 2.91~6%까지 증액될 것”이라고 말했다.

권 교수는 “주한미군이 보유한 다양한 정보수집 자산능력과 지휘ㆍ통제ㆍ통신ㆍ정보체계 운영능력은 정보전 시대에 승리를 보장하는 핵심적인 전력 요소”라면서 “주한미군 철수에 대비해 막대한 비용을 투자한다고 해도 이와 같은 전력을 보유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