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블로그] 이번에도 감동없는 야권연대

[여의도 블로그] 이번에도 감동없는 야권연대

입력 2011-04-09 00:00
업데이트 2011-04-09 01: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거철만 되면 야권에 퍼지는 유행가가 있다. ‘연대’ ‘연합’ 혹은 ‘단일화’다. 이번 4·27 재·보선도 예외가 아니다.

경남 김해을 지역에서 유난히 크게 들렸다.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국민참여당은 8일 이 지역 야권 연합 후보를 정하기 위한 경선 규칙을 확정했다. 머리를 맞댄 이후 40여일 만이다. 오는 12일쯤이면 단일 후보가 확정돼 한나라당 김태호 전 경남지사와 일전을 치르게 된다.

하지만 범야권이 어렵사리 맺은 ‘정치적 우정’에 유감스럽게도 박수를 쳐 줄 수가 없다. 특히 민주당과 참여당은 서로 목에 가시 같은 존재임을 여실히 드러냈다.

아무리 봐도 경선 규칙 경쟁의 본질은 두당의 구원(舊怨) 때문일지 모른다는 생각을 떨칠 수 없다. 어차피 자신에게 유리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밀고 당기고 하는 것이 게임의 규칙 아닌가. 규칙의 시시비비는 변수가 아니라는 뜻이다.

민주당은 유시민 참여당 대표를 애초부터 분열의 촉매제로 인식한다. 야권 대선 후보 지지율 1위를 다투는 유 대표에게 막말을 서슴지 않는다.

참여당은 민주당의 ‘비민주성’과 ‘지역주의’에 고개를 돌린다. 함께할 수 없음을 직간접적으로 드러냈다.

돌아보면 한국 정치사에서 ‘연대’의 역사는 제대로 완성된 적이 없다. 생각이 다른 세력끼리 소통하고 타협해 본 경험이 없다 보니 접착력이 있을 리 없다. 게다가 지지층도 다르다. 이념적 기반도, 정체성도 서로 다른 곳을 보고 있다. 오로지 연대의 목표는 ‘반한나라당’이다. 신뢰 없는 연대, 그 상처의 뒤끝엔 정치 혐오만 나부낀다. 유권자들의 생채기만 커질 뿐이다.

가장 강력한 연대는 ‘유권자’의 연대라고들 한다. 두당이 40일 전투를 치르는 동안 유권자들이 민주당과 참여당의 후보를 제대로 알 기회나 있었을까. 각 당의 지지층이 연합 후보를 흔쾌히 지지할 수 있을까.

연대 이전에 묵은 불신을 털어내지 않는다면 적어도 내년 대선까지 유권자들은 ‘야권 방송’이 틀어대는 철 지난 유행가를 계속 들어야 할 것 같다.

구혜영기자 koohy@seoul.co.kr
2011-04-09 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