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넘어 미래로” 글로벌기업 新패러다임] 삼성중공업

[“위기 넘어 미래로” 글로벌기업 新패러다임] 삼성중공업

입력 2012-07-19 00:00
업데이트 2012-07-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양플랜트로 조선업계 위기 돌파

유로존 재정위기로 촉발된 글로벌 경제위기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조선업계에서는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와 유사한 조선수주 급감, 선가 붕괴 등 최악 조건의 상황이 재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
유로존 위기에 따라 선박 수주가 급감하는 상황에서도 수십척의 선박과 해양플랜트가 건조되고 있는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의 전경. 삼성중공업 제공
유로존 위기에 따라 선박 수주가 급감하는 상황에서도 수십척의 선박과 해양플랜트가 건조되고 있는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의 전경.
삼성중공업 제공


세계 조선시황은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울 정도로 불투명해지고 있고, 건조 물량을 먼저 확보하려는 국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중공업은 강점을 갖고 있는 해양플랜트로 시장 공략으로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지난해 수주액 150억 달러 중 64%를 해양플랜트에서 확보했고, 올해는 수주목표 125억 달러 가운데 70% 이상을 해양플랜트에서 달성할 계획이다.

실제로 올 상반기 수주한 65억 달러 중 해양플랜트 실적은 61억 달러로 해양플랜트 비중이 90%가 넘는다.

삼성중공업은 또 향후 사업구조를 조선과 해양, 기계·전기 등 3개 부문으로 다각화할 계획이다.

조선 부문은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선박건조기술 등 제품차별화 전략으로 시장 선도 제품을 확대하는 데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연료 소모량을 최소화하는 최적선형 설계 ▲저온연소 엔진, 친환경 기자재 개발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하는 신개념 추진선 등 앞으로 다가올 친환경 시장의 선점을 위한 신기술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해양 부문에서는 심해 유전에서 원유나 가스를 추출해 운송하는 ‘서브시’ 사업에 신규로 진출하고, 아프리카 등지에 생산 거점을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기계·전기사업은 풍력발전 사업 외에 발전기, 변압기, 차단기 등 발전설비 사업과 전문 로봇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중전기와 서브시 사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서 인수합병이나 전략적 제휴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2-07-19 4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