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넘어 미래로” 글로벌기업 新패러다임] 두산그룹

[“위기 넘어 미래로” 글로벌기업 新패러다임] 두산그룹

입력 2012-07-19 00:00
업데이트 2012-07-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압기기 中 시장점유율 25%로

두산그룹은 어려운 때일수록 기본에 충실하면서 동시에 지속 가능한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한층 힘을 기울이는 전략을 채택했다.

이미지 확대
최근 지식경제부의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된 두산중공업의 상업용 원자력발전소 원자로. 두산그룹 제공
최근 지식경제부의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된 두산중공업의 상업용 원자력발전소 원자로.
두산그룹 제공


기술 경쟁력 제고에 주력하고, 해외생산 거점 확대를 통해 향후 5년간 제품·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유기적인 성장에 주력하겠다는 복안이다.

㈜두산은 중국 장쑤성에 모트롤BG와 전자BG의 첫 해외 생산기지인 모트롤BG 장인공장, 전자BG 창수공장을 각각 세우고 최근 준공식을 가졌다. 이 공장들은 주행장치 등 굴삭기용 유압기기와 전자제품의 핵심 부품인 동박적층판(CCL)을 생산한다. 이를 통해 유압기기 중국 시장점유율을 지난해 12.6%에서 2016년까지 25%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두산중공업은 발전 부문과 해수담수화 부문의 지속 성장을 기반으로 매출 성장세를 이어간다. 발전에서는 지난해 인도 현지 보일러 제조업체인 첸나이웍스와 독일의 친환경 발전설비업체 AE&E 렌체스를 연이어 인수했다.

세계 시장점유율 1위인 해수담수화에서는 지난해 2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플랜트를 수주하는 등 중동을 중심으로 한 6개 지역에서 담수화플랜트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브라질 시장 선점을 위해 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굴착기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이 공장이 완공되면 한국과 중국, 북미, 유럽, 중남미 등으로 이어지는 글로벌 생산 벨트를 구축하게 된다.

두산은 이를 바탕으로 2012년 매출 29조 1000억원, 영업이익 2조 2000억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2-07-19 4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