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민의 노견일기] 다시 쓰는, 늙은 개 이야기

[김유민의 노견일기] 다시 쓰는, 늙은 개 이야기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20-09-02 17:14
업데이트 2020-09-03 08: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낯설고 슬펐던 늙은 개의 하루가 차곡차곡 쌓여 4년이 돼 간다. 사람 나이로 구십이 넘은, 개 나이 열아홉. 열 살부터 노견이라는데 그중에서도 으뜸인 셈이다. 더는 젊지 않다는 걸 인정해야 했던 열여섯 해에 일기를 썼고, 영영 마지막일 것 같았던 고비를 서너 번 겪은 열일곱, 열여덟 해는 계절의 변화가 선물과도 같았다. 이별 연습은 담담하고 단단하게 늙은 개를 보살피게 했다.

노화는 정해진 속도가 있는 게 아니라 어느 날은 어제와 같고 어느 날은 하루가 다르게 나빠진다. 2년 전만 해도 느리지만 절뚝절뚝 제 힘으로 걸었던 녀석이 자꾸만 넘어지더니 누웠다 일어나는 것도, 뒷걸음질도 못 하게 됐다. 잠시라도 한눈을 팔면 구석에 들어가 나오지 못하고 소리를 내는 탓에 하루에도 몇 번씩 부딪히지 않게 방향을 틀어 준다. 못 본 사이에 구석에서 똥오줌을 싸는 날에는 화장실로 데려가 몸을 씻긴다. 6개월 전만 해도 온몸으로 거부하던 기저귀는 잘 때와 외출할 때 필수품이 됐다. 다리에 힘도 없으면서 어떻게든 똥오줌을 가리려고 일어서려다 넘어지기를 반복한다. 사소한 일상에 있는 힘을 다한다.

병원과 미용실에 가지 못한다. 먹기 좋게 사료와 영양제를 갈아 주고 발톱이 길면 손질하는 게 전부다. 늙어 가는 것, 그래서 조금씩 기운이 없어지고 생기를 잃어 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변화이기에 명랑하게 받아들이기로 했다.

해가 내리쬐면 품에 안겨 잠을 잔다. 가벼워진 몸으로 무거운 일상을 살아내는 나의 늙은 개. 두 눈을 꼭 감은 모습은 무척이나 평온해서 처음 보는 사람이 살아 있냐고 물을 정도다. 잊을 만하면 듣는 질문에 괜히 서럽다가 언젠가 우리의 마지막 날이 이 모습과 같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수많은 날을 함께해 준, 오랜 벗에게 바라는 단 한 가지일 것이다.

어제는 지나갔고, 오늘은 다시 오지 않고, 내일 역시 알 수 없기에 그저 순간을 살아가라고, 늙은 개와 함께한 지난 시간들이 알려 주었다. 사람 나이로 구십이 넘은 개는 오늘을 산다. 주어진 순간에 충실할 뿐 파릇했던 과거를 그리워하거나 알 수 없는 미래를 걱정하지 않는다.

늙은 개와 함께하니 나쁜 일보다는 좋은 일에 집중하며 살게 된다. 어릴 땐 예쁘게 미용을 하고 옷을 입히기 바빴다면 지금은 품에 안고 토닥토닥 바람을 쐬는 시간이 중요해졌다. 매일을, 한 계절을 야무지게 영위한다.

두 귀를 휘날리며 뛰어오던 때는 잔뜩 신난 모습으로 가족을 웃게 했고, 두 눈을 감고 누운 채 지내는 요즘은 편안한 표정으로 가족을 위로한다. 한결같은 사랑을 주고, 그 사랑 속에 기꺼이 늙어 가는 존재. 함께 있으면 나의 개가 더는 젊지 않다는 것도, 여기저기 아프고, 구석구석 못나졌다는 것도 아무런 상관이 없어진다. 열아홉 늙은 개는 어느 때보다, 어느 개보다 특별하다.
2020-09-03 3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