궂은 날도 굿인 날도 ‘동행’

궂은 날도 굿인 날도 ‘동행’

김승훈 기자
입력 2020-07-23 18:06
업데이트 2020-07-24 03: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언택트 시대, 해외 진출·혁신·사회공헌 팔 걷은 금융·공기업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신규 확진자가 미국, 브라질,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지에서 가파르게 늘고 있다. 일일 확진자 수가 26만명에 육박하는 등 수그러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은 국내외 경제에 큰 타격을 입히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전대 미문의 ‘언택트’(비대면) 현상이 세계적으로 확산되며 경제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는 것. 자영업자들은 줄도산이 이어지고, 실직자들은 속출하고 있다. 수출도 난항을 겪는 등 국내 기업 활동도 움츠러들었다. 이런 악조건 속에서도 실물 경제를 떠받치는 금융권과 공공 발전과 복지를 지탱하는 공기업들이 윤활유 역할을 하며, 우리 경제 엔진에 펌프질을 하고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나라 간 이동이 쉽지 않다. 미국, 유럽 등지에선 여행을 자제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외출 금지령이 내려지기도 했다. 국가 간 입국 거부라는 유례가 없는 조치가 취해지기도 했다. 세계 곳곳에서 공장 가동이 중단되고, 소비 활동이 위축되고 있다. 기업들의 해외 진출은 과거 어느 때보다 어려워졌다. 금융권과 공기업들은 해외 진출 빨간불이 켜진 상황에서도 한국 기업 진출이 활발한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시장과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 시장을 중심으로 글로벌 역량 강화에 힘을 쏟았다.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코로나19로 인한 예측 불가능한 난관들을 하나하나 극복하며 글로벌 시장 개척에 나섰다. 해외 영업망 구축, 공사 수주 등 다양한 형태로 세계 곳곳의 문을 두드렸다. 글로벌 시장 선점이 곧 국내 경제에도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사람 간 접촉을 꺼리면서 언택트가 화두로 떠올랐다. 세계 각국에 언택트 문화가 퍼지면서 언택트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키워드’로 자리잡았다.

언택트는 일상생활과 의식주, 사회적 관계, 공동체 등 기존 사회 질서를 통째로 바꾸고 있다. 비대면 소비, 원격교육, 원격진료, 재택근무 등 사회 전 분야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코로나19로 국내 기업 3곳 중 1곳이 재택근무, 화상회의 등 원격근무 방식을 도입한 것으로 조사되기도 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언택트 사회로의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정부는 아무도 가 보지 않은 언택트 시대를 맞아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을 앞당기기 위해 1조원 이상 규모의 펀드 조성에 나섰다. 금융권과 공기업들도 디지털 혁신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 언택트 마케팅을 강화하고, 고객이 언제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을 구축하며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언택트를 기반으로 한 포스트 코로나 특화 상품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다. 신청부터 전달, 사용까지 100% 언택트로 이뤄지는 게 핵심이다.

금융권과 공기업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도 잊지 않았다. 마스크와 방역 물품 지원 등을 통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이들에게 훈훈한 정을 전했다. 해외 진출, 혁신, 사회공헌 등을 통해 코로나19 침체기를 뚫고 ‘다이내믹 코리아’를 이끄는 금융권과 공기업들을 소개한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20-07-24 33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