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석유화학 기술 차별화·해외 파트너십 강화

LG화학, 석유화학 기술 차별화·해외 파트너십 강화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0-07-16 17:42
업데이트 2020-07-17 01: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충북 청주에 있는 LG화학 오창공장 전기차 배터리 생산라인에서 직원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LG화학 제공
충북 청주에 있는 LG화학 오창공장 전기차 배터리 생산라인에서 직원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LG화학 제공
LG화학은 국내를 대표하는 화학 기업으로 2024년까지 현재 매출 30조원의 2배에 달하는 매출 59조원을 달성하고 영업이익률도 두 자릿수를 돌파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석유화학 부문에서는 기술 차별화 사업을 중심으로 제품 구조를 고도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지역별 해외 파트너십을 강화해 동북아 지역을 넘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계획이다. 기술 차별화 제품을 확대하고 기초원료를 내재화하기 위해 총 2조 6000억원을 투자해 여수 NCC 및 고부가 폴리올레핀을 각각 80만t 증설하고 내년 하반기 내 양산할 예정이다. 전지 부문에서는 가격 경쟁력을 비롯한 생산, 품질 역량을 높이고 시장 상황에 맞는 다양한 사업 모델을 지속적으로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자동차전지 사업에서 3세대 전기차 중심의 대형 프로젝트를 적극 공략해 확실한 1위를 지킨다는 전략이다. 배터리 생산능력은 올해 말까지 고성능 순수 전기차 기준 170만대로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내외 자동차 업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사업 운영 역량을 확보하고 배터리 사업에서 차별화된 진입 장벽을 구축해 후발주자들과의 확실한 기술 격차를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LG화학은 지난해 12월 미국 1위 자동차 업체인 제너럴모터스(GM)와 전기차 배터리셀 합작법인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20-07-17 3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