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살해·폭행 등 4년간 367건 해외 워홀러 피해의 92%나

[커버스토리] 살해·폭행 등 4년간 367건 해외 워홀러 피해의 92%나

입력 2014-01-25 00:00
업데이트 2014-01-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워킹홀리데이 Q&A] 한국인 호주 워킹홀리데이 잔혹사

최근 호주에서 한국인 워킹홀리데이 참가자(워홀러) 대상 범죄가 잇달아 발생하자, 호주행을 준비하는 한국인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우려하는 것처럼 인종범죄나 한국인만을 겨냥한 테러는 아니었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 특히 호주에서 한국인 피해자가 발생한 사건·사고가 많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24일 브리즈번에 갓 도착한 워홀러 반모(23·여)씨가 19세 호주 남성에게 둔기로 머리를 맞아 숨진 채 발견됐다. 이틀 뒤엔 같은 지역에서 조모(28)씨가 백인 청년 2명에게 무차별 폭행을 당했다. 현지 경찰은 두 사건 모두 ‘묻지마 폭행’으로 판단했다. 반씨를 살해한 용의자는 “보이는 대로 아무나 죽이고 싶었다”고 진술했다.

이런 범죄는 최근 들어 호주 10대들 사이에서 다시 유행하고 있는 ‘킹 히트’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알려졌다. 킹 히트는 시비가 붙었던 상대를 몰래 따라가거나 멀쩡히 길을 가는 행인을 쫓아가 무방비 상태에서 폭행을 가하는 일종의 ‘위험한 장난’이다.

현지 언론은 2000년부터 킹 히트로 숨진 희생자가 91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킹 히트의 피해자는 국적을 가리지 않고 발생했다. 지난달에는 20대 아일랜드 배낭여행객 토머스 키니가 서호주 중심가 노스브리지 인근에서 공격을 당해 결국 숨졌다. 같은 달엔 뉴사우스웨일스 북부 콥스 하버에서 영국 배낭여행객이 호주 10대에게 이유 없이 머리를 맞아 의식을 잃었다. 10대 호주인 대니얼 크리스티는 킹 히트에 맞아 사경을 헤매다 지난 12일 숨졌다.

지난달 16일 브리즈번에서는 한국인이 한국인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워킹홀리데이를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올 채비를 하던 김모(28)씨는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개인 환전을 하기 위해 만난 한국인 황모(28)씨에게 살해당했다.

한국인 워홀러가 가장 많은 만큼 이들을 상대로 한 범죄도 다른 나라에 비해 호주에서 압도적으로 많았다. 외교부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3년까지 해외 한국인 워홀러가 피해를 입은 사건·사고 398건 중 92%에 해당하는 367건이 호주에서 발생했다. 캐나다가 15건, 프랑스와 뉴질랜드가 각각 5건, 일본과 독일이 2건씩이었다.

해외에서 발생한 한국인 워홀러 범죄 피해 중 연락두절, 경범죄 등 기타 범죄(216건)를 제외하면 폭력 범죄(77건)와 교통사고 등 안전사고(52건)가 가장 많았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4-01-25 13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