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자기 파괴 일삼는 남자들, 그 끝은 자살

[커버스토리] 자기 파괴 일삼는 남자들, 그 끝은 자살

입력 2012-10-27 00:00
업데이트 2012-10-27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면 뒤 숨겨진 남자의 우울증

전문가들은 중년 남성에게 찾아오는 우울증이 특히 위험하다고 말한다. 이 세대의 우울증은 다른 세대나 여성 환자보다 감정과 분노 조절이 어렵고, 술에 중독되는 등 자기파괴적인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김종우 심리문제연구소 소장은 “여성 환자는 자신의 아픔을 잘 표현하고 도움을 청하지만, 남성들은 감정 표출에 서툴러 자신은 물론 타인과의 관계까지 파괴적으로 만드는 사례가 많다.”고 지적했다.

실제 남성들은 우울증이 찾아오면 술·도박·섹스 등 자극적이고 흥미를 끄는 일탈적 행위에 집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규섭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병원을 찾는 중년 남성 환자를 보면 이미 알코올·도박 중독에 빠진 사람이 많다.”면서 “남성들은 점점 자극적인 것을 통해 자신이 살아 있음을 느끼려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자기파괴의 끝인 자살로 치닫는 사례도 많다. 남성은 자살 시도가 여성의 절반에 불과하지만, 사망자 수는 2배나 많다. 통계청이 2011년 발표한 사망원인 통계를 보면 인구 10만명당 남성 자살자는 43.3명으로 여성(20.1명)의 2배나 된다. 백종우 경희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남성과 여성은 자살 패턴이 다르다.”면서 “여성은 수면제 복용 등의 방법으로 20명 중 1명 정도가 목숨을 잃지만 남자는 목을 매거나 투신을 택해 대부분이 죽음에 이른다.”고 덧붙였다.

상황이 이렇지만 병원을 찾는 남성 환자들은 많지 않다. 병원을 찾는 것을 나약함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또 유교식의 가부장적 교육을 받은 남성일수록 자신의 감정을 숨기는 것을 미덕으로 여기기도 한다. 특히 이 세대는 어려서부터 ‘남자는 울어서는 안 된다’는 식의 교육을 받아 심신의 고통을 참아내려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변화순 팸라이프가정연구소 소장은 “가부장적인 남성일수록 우울증에 걸려도 ‘난 괜찮아’, ‘왜 정신병자 취급이냐’며 역정을 내기도 하나 이해심을 가져야 한다.”면서 “평소와 달리 감정조절을 못 하고 술이나 도박에 빠지는 등 행동에 급격한 변화를 보이면 우울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범수기자 bulse46@seoul.co.kr

2012-10-27 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