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우울한 명품학군 아이들] “난 혼자야” 푸념 평가에 너무 집착 앗! 나도 우울증?

[커버스토리-우울한 명품학군 아이들] “난 혼자야” 푸념 평가에 너무 집착 앗! 나도 우울증?

입력 2012-04-21 00:00
업데이트 2012-04-21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마음 가다듬고 체크해 볼까요

우울증을 일컬어 전문의들은 ‘마음의 감기’라고 표현한다. 그만큼 흔하게 걸리고 치료가 가능한 병이라는 의미도 된다. 하지만 스스로 병에 걸린지 몰라서, 또는 자신이 우울증 환자라는 사실을 인정하기 싫어서 치료 시기를 놓치기도 한다. 별것 아닌 사소한 삶의 스트레스가 우울증으로 번지기도 하고, 사소하게 여긴 우울증이 심해지면 극단적인 자살로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그만큼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우울증 환자에겐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우선 눈빛이 불안정하다. 우울증이냐고 물으면 십중팔구가 본인은 아니라고 부정한다. 이유 없이 슬퍼한다거나 화를 내거나 짜증을 부리기도 한다. “난 혼자야.”라며 비관적인 말을 자주 내뱉기도 한다. 지나칠 정도로 모든 일에 완벽을 기하거나 결벽증을 보이는 사람도 우울증을 의심해 볼 법하다.

우울증은 주로 사회성이 부족하거나 내성적인 이들이 걸릴 가능성이 높다. ▲낯을 가리고 타인의 평가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사람 ▲실패나 좌절 경험이 없는 사람 ▲애정결핍이나 지나친 집중력을 보이는 사람들은 우울증에 노출되기 쉽다는 것이다.

특히 자아가 형성되는 과정에 있는 청소년에게 우울증은 심각한 질병이다. 10대의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인 만큼 청소년 우울증은 자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학계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 10명 가운데 3명이 우울증을 가졌다고 보기도 한다. 신민섭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는 “서울에 거주하는 초·중·고교생의 약 14%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한 학급에 적어도 1~2명의 우울증 환자가 있다.”고 말했다. 청소년 우울증의 증상으로는 ▲따지기 좋아함 ▲친구에 대한 관심 상실 ▲수면 형태와 체중의 변화 ▲자기비판 빈도 증가 등을 꼽을 수 있다. 또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2배 정도 우울증에 빠질 확률이 높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2-04-21 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