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안전 행복운전] “시속 60㎞ → 50㎞ 줄이면 사망자 44% 줄어… 선진국 제한속도 50㎞인 이유”

[교통안전 행복운전] “시속 60㎞ → 50㎞ 줄이면 사망자 44% 줄어… 선진국 제한속도 50㎞인 이유”

입력 2016-08-31 23:18
업데이트 2016-09-01 02: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상진 韓교통연구원 교통안전연구그룹장

우리나라에서 외국인이 가장 빨리 배우는 단어는 ‘빨리빨리’라고 한다. 한국인이 얼마나 급한 성격을 갖고 있는지를 잘 드러낸다. 하지만 빨리빨리 문화로 인한 긍정적 성과도 있다. 휴대전화 등 정보통신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이유가 빠른 서비스를 원하는 우리 문화 덕분이라는 것이다.

한상진 韓교통연구원  교통안전연구그룹장
한상진 韓교통연구원 교통안전연구그룹장
반대로 빨리빨리 문화는 교통안전 측면에서는 아주 나쁜 영향을 미친다. 과속, 신호 위반, 끼어들기 등 위험운전을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난폭운전이나 보복운전도 이런 기질과 무관하지 않다.

이런 교통안전 문화를 바꾸기 위해 법제도적 변화가 필요하다. 때로는 법제도가 문화를 바꿀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중 하나가 제한속도를 선진국형으로 바꾸는 것이다. 유럽 등 대부분의 선진국 도시에서 제한속도는 시속 50㎞와 30㎞다. 도시에서는 신호등이 없는 고속도로처럼 차량 중심의 도로가 아닌 이상 시속 50㎞ 이상을 낼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주택가 생활도로처럼 보행자가 많고 교통량이 적은 도로에서는 시속 30㎞가 일반적이다. 이 때문인지 유럽에서 만들어진 차량은 속도 계기판에서 50과 30이 눈에 잘 띄게 돼 있다. 그만큼 사회적으로 중요한 속도라는 의미다.

우리나라 도시의 일반적인 제한속도는 시속 60㎞다. 어떤 도로는 이보다 높다. 속도를 시속 10㎞ 낮추는 것이 별것 아닌 것 같지만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낮추는 데 큰 효과가 있다. 호주의 한 연구에 따르면 시속 50㎞에서는 차에 부딪힌 보행자 10명 중 5명이 사망하지만, 시속 60㎞에서는 10명 중 9명이 사망한다.

따라서 속도를 시속 60㎞에서 50㎞로 낮추면 산술적으로 44%나 사망자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대부분의 교통안전 선진국이 도시부 제한속도를 시속 50㎞로 설정하는 이유다. 그렇다고 운전 시간이 크게 늘어나지도 않는다. 어차피 시내에서는 차량속도보다 교차로 신호 대기시간이 전체 운전 시간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시속 30㎞는 왜 중요할까. 이 속도는 보행자가 차에 부딪혔을 때 10명 중 1명이 사망할 정도의 수준이다. 이 때문에 주택가 생활도로, 상가 주변 등 도로는 좁은데 보행량이 많을 경우 제한속도를 시속 30㎞로 낮추는 ‘존(zone)30’이 지정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존30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제는 이런 구간이 전체 주택가 생활도로로 확산돼도 좋다.

‘50·30 속도관리’는 교통안전 선진국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이 길에 먼저 나서는 도시가 더 살기 좋은 도시가 될 것이다.
2016-09-01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