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업그레이드 현장] 안전 특별예산 500억 편성…사업소별 맞춤형 매뉴얼 준비

[안전 업그레이드 현장] 안전 특별예산 500억 편성…사업소별 맞춤형 매뉴얼 준비

입력 2014-06-26 00:00
업데이트 2014-06-26 0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전 업그레이드 어떻게

세월호 참사로 재난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한국전력공사는 안전관리 시스템을 전면 업그레이드 중이다. 지난달 7일 구성한 비상대책위원회는 부사장을 위원장으로 안전재난, 설비운영, 조직 및 예산 담당 부서장이 참여하는 재난대응 컨트롤타워다. 위원회는 위기 상황을 가정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수립하는 한편 안전 관련 예산과 조직을 각각 보강 중이다.
이미지 확대
지난달 현장점검을 위해 인천 서구 경서동 한전 인천전력지사를 방문한 조환익(오른쪽 두번째) 사장이 스위치 야드를 둘러보고 있다. 한전 제공
지난달 현장점검을 위해 인천 서구 경서동 한전 인천전력지사를 방문한 조환익(오른쪽 두번째) 사장이 스위치 야드를 둘러보고 있다.
한전 제공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선언적인 구호로 그치지 않도록 곧바로 500억원이란 특별 예산도 편성했다. 해당 예산은 고장, 화재, 정전 위험이 큰 설비 시설에 우선 투입한다. 한전은 또 비상안전처 내에 재난관리팀을 신설했다. 최근까지는 본사 내부 안전재난관리팀이 산업안전부터 설비안전, 재난관리 업무를 한꺼번에 처리했지만, 현재는 신설된 재난관리팀이 설비안전과 재난관리를 전담한다. 본사(8명)직원과 사업소(158명) 재난 담당직원이 유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핫라인도 구축했다.

전국 268개 사업소의 재난대응 매뉴얼도 일제 점검에 나섰다. 보고용으로 급조됐거나 실제 상황과 동떨어진 부분이 있다면 전면 수정해 각 사업소의 현실에 맞게 맞춤형 매뉴얼을 새로 제작한다는 방침이다.

집중호우와 늦은 태풍 등을 대비해 하계 특별대책기간도 10월 15일까지로 연장했다. 상습 침수지역과 하천, 급경사지 주변 설비 등은 사업소 1만 2000여명의 직원을 동원해 철저한 현장 점검을 진행 중이다. 재난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종 재난대응 종합훈련을 본사가 직접 주관하고 사업소별 고장대응 훈련도 연간 4회 이상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기존 미흡했던 사업소별 자체 재난 교육도 분기별로 1회 이상으로 늘려 재난대응이 전체 직원들에게 체화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조환익 사장은 “전력분야 전반에 걸쳐 한전의 재난대응 인식과 시스템이 한층 더 개선돼야 한다”면서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하고, 생각하지 못했던 모든 경우의 수에 대비해 재난을 예측하고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명실상부한 안전 업그레이드를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4-06-26 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