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분단 70년-신뢰의 씨앗 뿌리자] ‘사각지대’ 놓인 통일교육

[한반도 분단 70년-신뢰의 씨앗 뿌리자] ‘사각지대’ 놓인 통일교육

입력 2014-03-31 00:00
수정 2014-03-31 0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정권 성향 따라서 ‘오락가락’ 교과서 단편적·교사 소극적

통일과 남북 문제는 우리 교육 현장에서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통일 이슈가 집권세력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좌우될 소지가 많고 보수와 진보의 이념 논쟁의 핵이 되고 있는 것이 우리 현실이다. 교육 현장에서도 시비의 여지가 적지 않아 통일과 남북 문제에 대해 교과 수업 자체가 소홀해지고 있는 것이다. 역사 교과서의 마지막 단원인 현대사 부분에서 다루다 보니 자연스럽게 진도에 쫓겨 대충 넘어가는 경우도 많다.

교과서의 남북 문제 관련 서술이 단편적이다 보니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도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중학교 교사 출신 안창모(63)씨는 “교과서상으로 남북 관계의 단편적인 내용만 기술돼 있다 보니 일선 교사들은 교과서에 없는 내용을 찾아서 가르쳐야 한다”고 말했다.

통일교육원 관계자는 “교사들을 만나면 통일, 북한 문제에 대해서는 말하기가 조심스럽다는 분들을 적지 않게 본다”고 말했다. 최근 한국사 교과서 채택 논란과 함께 현대사의 범위를 어느 정부까지로 정해야 할지를 놓고 의견이 엇갈린 이유도 이러한 민감성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같은 논란을 의식해 통일부는 통일의 관점에서 근현대사를 조명하는 교과서 제작도 검토하고 있다. 매년 제작하는 통일교육원의 관련 교재에 근현대사 관련 범위를 늘리겠다는 의미인데 일각에서는 서술 방향에 따라 또 다른 이념 시비를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정 이념과 사상의 주입을 금지하고 논쟁을 투명하게 해 학생들이 자신만의 생각과 사상을 갖도록 하자는 1976년 독일의 ‘보이텔스바흐 합의’를 대안으로 제시하는 목소리도 있다. 논쟁을 피할 수 없다면 학생들이 자유롭게 통일과 남북관계를 이야기할 수 있는 장을 만드는 것이 낫다는 주장이다.

안석 기자 ccto@seoul.co.kr
2014-03-31 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