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도쿄신문 공동 여론조사] 韓 23%·日 50% “상대국가에 친근 느껴”

[본지-도쿄신문 공동 여론조사] 韓 23%·日 50% “상대국가에 친근 느껴”

입력 2013-01-04 00:00
업데이트 2013-01-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두 나라 국민 선호도 낮아져

우리 국민 23.6%만 일본에 친근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대해 친근감을 느끼는 일본인은 50.1%였다.

이미지 확대
2005년 7월 조사에서 일본에 친근감을 느끼는 한국인은 27.9%, 한국에 대한 친근감을 느끼는 일본인은 56.6%였다. 지난해 8월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 이후 양국 간에 불거진 독도 영유권 분쟁에 따라 두 나라 국민들의 감정도 다소 나빠졌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일본에 대한 친근감은 남자(22.9%)보다 여자(24.2%)가 다소 높았다. 연령별로는 20대(27.8%)가 일본에 대해 가장 많이 친근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층이 만화나 애니메이션 등을 통해 일본문화에 익숙한 결과로 보인다. 60대 이상에서는 친근감이 20.0%로 가장 낮았다. 직·간접적으로 일본 식민지 시절의 아픈 기억이 남아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역별로는 대전·충북·충남 등 충청권에서의 친근감이 14.2%로 가장 낮았다.

일본인도 남자(44.1%)보다는 여자(55.8%)가 한국에 대해 더 친근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연령별로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20대(62.5%)가 한국에 대해 가장 친근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상대국의 필요성’을 묻는 설문에 대해서는 한국인 중 37.0%가, 일본인 중 52.6%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2005년 7월 조사에서는 한국인 중에는 53.5%, 일본인 중에는 54.1%가 상대방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한국인과 일본인 모두 7년 전과 비교할 때 상대방의 필요성에 대한 응답 비율이 줄어든 것은 똑같지만, 특히 일본의 필요성을 느끼는 한국인은 무려 16.5% 포인트나 줄었다.

아베 신조 정권이 출범하면서 독도 영유권 분쟁과 과거사 문제 등에 대해 우경화 경향을 보이면서 특히 한국인들의 반일 감정이 심해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최근 소니와 파나소닉 등 일본의 간판 기업들은 고전하는 반면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등 한국 대표기업들은 좋은 실적을 유지하면서 한국인들 사이에 한국 경제와 한국 기업에 대한 자신감이 붙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가능하다.

성별로 우리나라는 남자(45.2%)가 여자(29.0%)보다 일본의 필요성을 더 느낀 반면, 일본은 남자(52.9%)와 여자(52.4%)가 비슷했다. 연령별로는 양국민 모두 50대에서 상대방의 필요성을 느끼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한국의 50대는 45.2%, 일본의 50대는 59.2%였다.

도쿄 이종락 특파원 jrlee@seoul.co.kr

2013-01-04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