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철의 영화 만화경] 아빠 잃은 가족 이야기 ‘더 트리’

[이용철의 영화 만화경] 아빠 잃은 가족 이야기 ‘더 트리’

입력 2012-09-07 00:00
업데이트 2012-09-07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뻔한 결말?… 곱씹어도 맛있는 스토리!

오닐 가족은 호주의 광활한 대지에서 행복하게 살았다. 출장을 마친 아빠가 갑작스레 죽으면서 엄마 던과 네 아이는 웃음을 잃어버렸다. 어두운 방에 숨어 지내는 던은 한낮에도 일어나지 않았다. 그녀는 조그만 문제가 생겨도 아이들에게 화를 냈다. 자연히 집은 엉망이 됐고, 집안 살림은 어느새 아이들의 몫이 되었다. 그들이 사는 집 곁에는 아름드리 무화과나무가 위용을 떨치고 있었다. ‘구글 어스’로 검색해 보면 집보다 무화과나무가 먼저 보일 정도였다. 어느 날 개미를 따라 무화과나무에 올라간 셋째 아이 시몬은 나무에 가만히 귀를 대보았다. 그리고 엄마에게 조용히 다가가 말했다. “아빠가 있는 곳을 알았어. 아빠 목소리를 들었어.”라고. 딸의 소중한 믿음을 느낀 던은 나무에 올라가 본다.

이미지 확대
주디 파스코의 소설 ‘나무 속의 우리 아빠’를 영화화한 ‘더 트리’는 2010년 칸영화제 폐막작이었다. 이듬해 칸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받은 작품은 ‘트리 오브 라이프’였다. 두 영화는 같은 곳에서 시작해 다른 영역으로 뻗어간 나무의 이야기다. 가족 중 누군가의 죽음으로 시작한 두 이야기 중 ‘더 트리’는 마침내 ‘살아라.’라는 메시지로 매듭을 짓고, ‘트리 오브 라이프’는 전 우주적인 세계관으로 메시지를 확장한 게 차이라면 차이였다. 2003년에 ‘오타르가 떠난 후’로 인상적인 데뷔를 치른 줄리 베르투첼리는 상실의 아픔에 관한 은은한 드라마를 다시 한 번 완성했다. ‘오타르가 떠난 후’와 ‘더 트리’는 공히 가족의 죽음과 그 수용에 관한 영화다.

‘더 트리’는 예상한 대로 전개되는 까닭에 오히려 신기한 현대영화다. 아버지를 잃은 가족에게 벌어질 이야기를 상상해 보라. ‘더 트리’는 예상에서 거의 벗어나지 않는다. 엄마는 새롭게 만난 남자와 사랑을 꿈꾸지만, 새 남자를 경계하는 딸과 갈등을 빚는다. 이야기가 너무 평범해 혹자는 결말조차 심심하다고 생각할지 모른다. ‘더 트리’는 도넛보다 식빵에 가깝다. 두 개만 먹어도 질리는 도넛과 달리, 씹을수록 고소한 맛이 우러나는 식빵을 닮았다. 로버트 듀발에게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안겨 준 ‘부드러운 자비’(원제: Tender Mercies·1983년) 같은 영화가 그렇듯이 말이다. 강렬한 연기로 유명한 듀발이 가장 조용하고 편안한 연기를 펼친 작품으로 연기상을 받았음을 기억하라. 쉬 감동하고 쉬 버리는 시대에 그런 영화의 가치를 발견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더 트리’는 집을 싣고 이동하는 트럭의 이미지로 시작한다. 이어 집을 배달하고 돌아온 아빠는 죽는다. 신령스러운 무화과나무에 아빠의 영혼이 깃들어 있기에, 남은 가족은 15년 동안 살아온 집을 떠나지 않는다. 그들은 무화과나무가 집안 곳곳을 위협하며 남기는 메시지를 깨닫지 못한다. 태풍이 몰아친 다음 날, 그들은 드디어 메시지를 알아듣는다. 아빠는 이곳을 떠나 슬픔을 극복하라고 전했던 것이다. 그냥 살아갈 수는 있다. 그러나 제대로 살려면 힘이 필요하다. 그 힘의 원천 중 하나는 사랑이다. ‘더 트리’는 잃어버린 사랑을 회복한 가족의 이야기다. 이동하는 집으로 시작해 파괴된 집으로 끝나는 ‘더 트리’는 집은 사라질 수 있으나 가족은 살아가야 한다고 말한다. 정작 집 자체에 연연하는 한국 가족이 자신을 되돌아보도록 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13일 개봉.

영화평론가

2012-09-07 2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