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고사리 3味 삼매경

제주 고사리 3味 삼매경

입력 2014-05-10 00:00
업데이트 2014-05-10 01: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5월 딱 한 달 찾는 눈맛·잡아채 톡톡 꺾는 손맛·중국 관광객도 먹는 입맛

제주의 봄은 법정의 판사도, 진료실의 의사도, 연구실의 교수도 들판으로 불러 낸다. 겨우내 몸져누워 있던 할망(할머니)들은 언제 그랬느냐며 벌떡 일어나 이른 새벽부터 산으로 들판으로 나간다. 해녀들도 잠시 물질을 멈추고 들판으로 길을 떠난다. 동네 병원도 환자들의 발길이 뚝 끊기고 주일 시골동네 교회도 텅 비어 버린다. 시골 노인정은 개점 휴업상태다. 너도나도 고사리를 찾아 들판으로 길을 떠난다.

이미지 확대
봄이면 제주의 들판에 고개를 내미는 야생 고사리의 모습. 아홉 번까지 다시 새순이 돋아난다고 한다.
봄이면 제주의 들판에 고개를 내미는 야생 고사리의 모습. 아홉 번까지 다시 새순이 돋아난다고 한다.


이미지 확대
제주 오일장 할망 장터에서 한 할머니가 손수 채취해 말린 고사리를 중국인 관광객에게 팔고 있다.
제주 오일장 할망 장터에서 한 할머니가 손수 채취해 말린 고사리를 중국인 관광객에게 팔고 있다.
불쑥 고개를 내민 야생 고사리의 유혹으로 한적했던 제주 들판에는 고사리 찾는 인파로 북적인다. 어떤 곳은 고사리보다 고사리를 꺾는 사람들이 더 많을 정도다. 인적 없는 원시림 곶자왈(크고 작은 바위 덩어리와 나무, 덩굴 식물 등이 뒤섞여 숲을 이룬 곳) 깊은 숲 속까지 고사리를 찾는 사람들이 넘쳐난다.

“너는 얼마나 꺾었니? 어디 고사리 많은 곳 아는 곳 없는가?”

한 번쯤 고사리를 꺾어 보지 않은 사람들은 대화에도 낄 수도 없다. 찾는 재미 눈맛, 꺾는 재미 손맛, 먹는 재미 입맛, 고사리 삼매경에 빠진 봄의 절정 5월 제주의 속살을 들여다봤다.

제주 사람들이 봄을 기다리는 것은 섬을 노랗게 물들이는 유채꽃 때문이 아니다. 불쑥불쑥 솟아나는 고사리 생각으로 봄을 기다린다. 제주에서 고사리를 꺾을 수 있는 시기는 4월 중순부터 5월 중순까지 딱 한 달간이다. 5월 하순이면 고사리 잎이 펴 버리고 고 줄기가 단단해져 맛이 없다.

장마 시작 전 4월 중순부터 제주에는 비가 자주 내린다. 이 비는 고사리를 땅속에서 쑥쑥 키워내 제주 사람들은 이를 ‘고사리 장마’라 부른다. 그래서 고사리 철이 되면 제주 할망들은 ‘비가 와야 할 텐데’라며 하늘을 자주 쳐다본다.

●㎏당 13만원 호가해 소고기보다 비싼 몸

제주 고사리는 최고로 쳐준다. 예로부터 ‘귈채’라 불리며 임금에게 진상을 올릴 정도로 쫄깃하고 뛰어난 맛과 향기를 자랑한다. 곶자왈이며 오름(기생 화산), 한라산 들판의 청정 자연환경이 키워내 명품 대접을 받는다. 최고의 품질답게 가격도 소고기보다 비싸다. 1㎏ 제주 한우 등심이 6만 5000원인데 잘 말린 제주 고사리는 12만~13만원을 호가한다.

한라산 중산간도로는 주말이면 고사리 삼매경에 빠진 채취꾼들의 차량으로 넘쳐난다. 중산간도로는 1년에 고사리 철과 벌초 시즌 딱 두 번만 차량으로 넘쳐난다. 양순희(54·제주시 애월읍)씨는 “고사리 철이 되면 밤새 고사리가 눈에 아른거리고 길가의 풀이며 작은 나무들이 고사리로 보이기도 한다”며 “4월 초부터 아낙이며 할망들은 모두 고사리를 찾아 떠나는 바람에 마을이 텅 비어 버린다”고 말했다.

야생 고사리는 아직 잎이 피지 않고 동그랗게 말린 새순을 꺾는다. 고사리를 잡아채 톡톡 꺾는 손맛은 짜릿하다. 들판에서 쉽게 꺾을 수 있는 초록색의 가늘고 긴 고사리를 제주에서는 백고사리, 가시덤불 등 그늘에서 자란 진한 갈색의 통통한 고사리를 흑고사리라 부른다. 고수들은 대부분 흑고사리를 찾아다니고 질보다 양이 중요한 하수들은 백고사리도 마다하지 않고 꺾는다.

그해 처음으로 꺾은 고사리는 잘 보관했다가 제사상에 올린다. 김만수(50·서귀포시 남원읍)씨는 “조상 제사 모시기에 유별난 제주 사람들이 봄에 부지런히 고사리 꺾는 것은 정성껏 제사상에 올리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야생 고사리 줄기는 꺾어도 아홉 번까지 새순이 돋아난다. 고사리 장마철이면 하루에 두 번도 가능하다. 앞사람이 지나간 곳을 뒤따라 가도 금세 자란 새 고사리를 만날 수 있을 정도다. 제주에는 ‘고사리는 아홉 성재(형제)다’는 속담도 있다. 고사리처럼 자손들이 강하게 자라고 번성하기를 바랄 때 하는 얘기다.

●새순 9번까지 돋아 자손번성 의미도 지녀

제주 사람들은 고사리가 많이 나는 나만의 포인트 한 곳씩 있다. 며느리에게도 안 알려준다. 시골 할망들은 새벽녘에 슬그머니 집을 나서 한 자루씩 고사리를 꺾어 올 뿐 어디서 꺾었는지 도무지 말이 없다. 고영순(48·제주시 외도동)씨는 “시어머니가 봄이면 고사리를 혼자 꺾으러 가는데 어디에 가는지는 말을 안 한다. 그저 부지런히 꺾으며 많이 꺾는다고만 한다”고 말했다.

제주에서 고사리가 많은 곳은 서귀포시 남원읍 수망리 일대다. 하지만 이곳은 채취 경쟁이 너무 심해 고수들은 거의 안 간다. 고수들은 저마다 고사리 포인트가 있고 해마다 새로운 고사리 밭을 찾아 나선다. 고사리 꺾기는 혼자 가면 고수고 여럿이 가면 하수다. 수망리에서 해마다 고사리 축제가 열렸지만 올해는 세월호 참사로 취소됐다.

채취 바람에 관광객도 가세했다. 오로지 고사리만 찾아다니는 투어가 인기다. 여행경비가 빠져서다. 제주 올레 안은주 사무국장 “한나절만 하면 5만~6만원은 벌 수 있어 며칠이면 항공료가 빠진다”며 “올레길 주변 들판에 고사리 투어객이 부쩍 늘어났다”고 말했다.

시골 할망들에게 야생 고사리는 제주 자연이 주는 로또다. 한 달 동안 부지런히 발품 팔면 200만~300만원을 번다. 손자들 용돈도 주고 자신의 용돈으로도 넉넉하다. 손수 꺾은 고사리를 파는 제주 오일장 할망들의 얼굴에는 요즘 웃음이 가득하다. 부용순(72·제주시 애월읍) 할망은 “제주 고사리 좋다는 게 중국까지 소문났는지 오일장 찾는 중국 사람들도 말린 제주 고사리를 사가기도 한다”고 말했다.

●채취객 실종에 119·경찰도 들판과 숲으로

제주의 119대원과 경찰도 쉬는 날이면 어김없이 고사리를 찾아 길을 나선다. 하지만 평일에는 길 잃은 고사리 꾼들을 찾아 들판으로, 숲으로 길을 나선다. 고사리 꺾기에만 열중하다 보면 숲 속에서 길을 잃기 쉽다. 제주에서는 4월 한 달에만 23건의 고사리 채취객 실종 사건이 발생했다. 실종 신고로도 31명이 구조됐다. 고사리철만 되면 제주경찰은 휴대전화가 없는 할망에게 호루라기를 지급한다. 디지털 시대, 제주의 들판에서 호루라기는 아직 요긴한 신호 수단이다. 경찰 관계자는 “허리를 숙이고 고사리를 꺾다 보면 숲으로 들어가게 돼 한 번씩 일어나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것을 당부하는 고사리 안전 주의보를 발령하지만 1년에 제주에서 발생하는 100여건의 실종 사건 가운데 절반가량이 고사리 철에 발생한다”고 말했다.

5월 중순 제주의 고사리 삼매경은 이제 막바지다. 고사리꾼들의 발길은 더욱 바빠진다. 이달이 지나면 1년을 기다려야 한다. 하지만 내년에도 10년 뒤에도 100년 뒤에도 제주의 어느 들판에서 누구나 야생 고사리를 마음껏 채취하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을지 의문이다. 제주는 요즘 한라산 중산간 곶자왈까지 망치 소리가 요란하다. 중국자본의 개발바람은 들판과 산을 파헤치고 있다. 제주 경실련 좌광일 사무처장은 “개발붐이 계속되면 고사리 꺾는 봄 풍경도 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봄에 제주 사람들이 야생 고사리를 꺾지 못하면 무엇하며 봄날을 보낼까? 생각만 해도 대략 난감이다.

글 사진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2014-05-10 1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