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계 엘리트주의가 역사를 대중과 멀게 해”

“역사학계 엘리트주의가 역사를 대중과 멀게 해”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4-09-23 14:00
수정 2024-09-23 14: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역사비평 148호(2024 가을호)
역사비평 148호(2024 가을호)


올해 광복절은 한국 사회의 분열상을 적나라하게 드러내 보였다. 뉴라이트, 친일, 건국절 등 논란을 안고 있는 독립기념관장 인선으로 촉발된 사태는 정부의 광복절 기념식과 별도로 광복회가 여러 독립운동 단체와 함께 기념식을 열었다. 국가 의전 서열 2위인 국회의장도 정부 기념식에 참석하지 않았고, 야당 인사 대다수도 광복회 주도 기념식에 참석했다. 이렇듯 근현대사에 대한 역사 인식 문제와 여기서 비롯된 ‘역사 전쟁’이 분열과 혐오의 정치로 이어져 한국 사회의 이념적 양극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역사 계간지 ‘역사비평’ 148호(2024 가을호)는 ‘공공역사의 다양한 시선들’이라는 주제의 연재기획을 통해 공공역사가 역사학의 한 영역으로 자리 잡고, 역사 연구자와 대중 사이의 틈을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 살펴봤다.

1970년대에 미국 역사학계에서 처음 등장한 공공역사는 역사 연구자가 갖던 역사 서술의 특권에 대한 반발과 학계 연구가 고립돼 대중과 동떨어지게 됐다는 반성으로 시작됐다. 학문 탐구과 실천, 대중과 관계가 긴밀한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역사학의 하위 분과다.

김태현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과 김재원 가톨릭대 겸임교수는 ‘학교에서 태어나 미디어가 키운 공공역사, 중국을 혐오하다’라는 소논문에서 교과서에서 출발하는 한국인 개개인의 역사관이 공공에 퍼져 있는 각종 역사 콘텐츠와 만나며 ‘한민족 신화’에 바탕을 둔 ‘타국관’을 정답으로 어떻게 흡수하는지 자세히 검토했다.

한국에서 학생들은 역사라는 과목을 배우면서 역사학적, 인문학적 사고력을 키우기보다는 지식을 채워넣기에 급급하다. 사실관계의 양을 시험에 맞게 정리하고 답을 찾는 방법을 익히는 과정에서 ‘역사는 정답을 선택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각인된다. 이럴 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국가와 민족을 선으로 두고 사실관계를 명확한 ‘선과 악’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결국 역사를 배울수록 과거를 이분법적으로 재단하는 것이 체화된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교과서에서 출발한 배타적 민족주의와 이에 따른 타자를 향한 적대적 감정은 매스미디어 속 한국사 콘텐츠를 통해 완성되고, 소셜 미디어(SNS)를 통해 진화한다고 지적했다. SNS에서는 자기 취향에 따른 알고리즘으로 콘텐츠를 선택하게 되기 때문에 ‘국뽕 콘텐츠’에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세상에서 행위 주체인 네티즌은 민족주의의 수호자로 주변 국가와 역사분쟁을 확대 증폭시켜 표출하는 특징을 가진다고 이들은 설명했다.

이런 문제들은 역사학계가 대중과의 소통을 소홀히 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학계는 내부에 고립된 채 학계의 연구 성과를 유통하는 데 실패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대중이 인식하는 역사 연구자는 오만과 무능력 그 자체이며, 대중의 감정에 공감할 줄 모르고 도태된 자이다. 이에 대해 필자들은 “연구자들의 공공역사 활동으로 유통된 최신 학계 연구 성과가 건강하게 유통될 수 있는 구조를 만들도록 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