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에 울다웃다…사랑詩에 심쿵했다

에세이에 울다웃다…사랑詩에 심쿵했다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4-01-05 00:25
업데이트 2024-01-05 0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읽을, 거리
김민정 지음
난다/284쪽/1만 5000원

출판사 한 달 한 권 책 ‘시의적절’
1월 맡은 김민정 시인의 잡문집
인터뷰·일기 등 다양한 형식 담아

재미있는 이야기에 낄낄대다가
세상 떠난 이들 글 읽어보곤 ‘울컥’

이미지 확대
김민정 시인. 작가 제공
김민정 시인.
작가 제공
한 달간 하루에 한 장(章)씩 읽으라고 만든 책인데, 재밌어서 꼬박 하루 만에 다 읽어 치웠다. 리듬과 유머를 아울러 갖춘 문장에 낄낄대다가도, 세상을 떠난 이들을 그리는 글에 당도해서는 속에서 뜨거운 것이 올라오기도 했다. 독자들을 ‘심쿵’ 하게 할 사랑 시도 여럿 담겼다.

김민정 시인의 잡문집 ‘읽을, 거리’는 출판사가 새해 새롭게 선보이는 시리즈 ‘시의적절’의 첫 번째 책이다. 열두 명의 시인이 릴레이로 한 달에 한 권씩 책을 펴낸다. 4월엔 오은, 7월엔 황인찬, 12월엔 박연준 시인이 예정됐다. 각 책은 하루 한 편씩 서른 편 정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연말까지 출간이 마무리되면 총 365가지의 다채로운 이야기들이 독자들을 찾아간 셈이다.

한 해의 시작인 1월을 맡은 김민정은 에세이, 인터뷰, 일기, 노트 등 다양한 글을 책에 담았다. 어느 출판사에서 김민정을 ‘사랑받는 시인이자 성공한 편집자’라고 설명했는데, 이 말마따나 이야기 중에서 가장 흥미를 끄는 건 그가 편집자로서 발품을 팔아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다.
이미지 확대
최승자 시인의 산문집을 복간하기 위해 고군분투한 이야기는 그대로 영화 한 편을 만들어도 손색이 없다.

“그 두 권(산문집)이 오랫동안 절판 상태여서요. 선생님이 허락해 주신다면 재출간을 하고 싶어서요.” “글쎄, 그 책들이 그럴 만한 값어치가 있을까요.” “저는 너무나 좋아했어가지고요, 선생님.” “그게요 그대로는 아마 못 내고 내가 싹 다 뜯어고쳐야 할 거예요.” “아… 그러시구나.” “나중에 내가 좀 말이 된다 싶을 적에 다시 연락을 할게요.” ‘딸깍’ 하고 끊긴 전화는 5년 만에 다시 걸려 온다. ‘054’로 시작되는 낯선 번호를 통해서. “그때 말한 내 책 두 권 있잖아요. 그거 김민정씨가 내주세요.” 수화기 너머로 최승자가 불러주는 ‘시인의 말’을 김민정이 받아 적는 장면은 시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읽으면 배시시 웃음이 날 만하다.

무심코 페이지를 넘기다 돌연 먹먹해지기도 한다. 2020년 세상을 떠난 개그맨 박지선과의 인터뷰를 읽으면 너무도 순하고 해맑게 책을 사랑했던 생전의 그가 또렷하게 그려진다. 김민정은 재독 시인 허수경의 유고집을 펴냈을 적 기억도 소환한다. 자신의 마지막을 앞둔 허수경은 김민정에게 시집을 내달라며 한 통의 편지를 보냈다. “너를 보면 겨우 참았던 미련들이 / 다시 무장무장 일어날 것 같아. / 시인이니 / 시로 이 세계를 가름하는 걸 / 내 업으로 여기며 살아왔으니 / 마지막에도 그러려고 한다. / 나를 이해하렴 // (…) 시를 많이 쓰는 나날이 네게 오기를 바란다. / 날카로운 혀를 늘 심장에 지니고 다니렴.”

노트에 필사할 만한 예쁜 사랑 시도 있다. 이슬아 작가와 이훤 시인의 결혼식에서 읽어 줬다는 축시 ‘사랑’이 그렇다.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두 사람에게 ‘어떻게 사랑하며 살아갈 것인지’ 담담하게, 나직이 제안한다.

“둘이 사는 내내 / 사랑이 / 화의 불씨를 밟아주기를, // (…) 둘이 사는 내내 / 사랑이 / 불신의 혀를 잘라주기를, // 둘이 사는 내내 / 사랑이 / 떠들썩한 치장이 되지 않기를, // 둘이 사는 내내 / 사랑이 / 굳건한 의리가 되기를, // 그리하여 / 둘이 사는 내내 / 사랑이 / 당신 둘에게만 / 늘, 자랑이기를.”
오경진 기자
2024-01-05 1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