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이 여자는 빼고 설계한 세계의 실체

남성이 여자는 빼고 설계한 세계의 실체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0-07-16 18:10
업데이트 2020-07-17 01: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보이지 않는 여자들/캐럴라인 크리아도 페레스 지음/황가한 옮김/웅진지식하우스/464쪽/1만 8500원

2015년 한 조사에 따르면 인도 뭄바이 빈민가에 사는 여성의 12.5%는 밤에 실외에서 용변을 본다. 집에서 공중화장실까지 평균 거리 58m를 걸어가는 게 안전하지 않아서다. 2016년 연구에선 밖에서 용변을 보는 인도 여성이 성폭행당할 확률이 집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의 2배에 달했다. 급기야 뭄바이 고등법원이 간선도로 여성화장실 건립 명령을 지방정부에 내렸지만, 지방정부는 ‘예산 절감’ 효과를 이유로 건설을 취소했다.

미국 예일대 연구에 따르면 이는 ‘허위 절감’이었다. 이 대학 연구진이 개발한 ‘성폭행당할 위험과 위생 시설의 수, 여자가 화장실까지 걸어가는 데 걸리는 시간’ 사이의 상관관계를 측정하는 수학모형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카옐리차시에 적용해 봤다. 1200만 달러(약 140억원)을 들여 화장실 1만 1300개를 늘리면 성폭행으로 발생하는 연간 비용 4000만 달러(약 470억원)의 8분의1을 줄이고 성폭행은 30% 감소시킬 수 있었다.

부수적인 이익도 컸다. 여자들이 실외 용변으로 골반염 등 수많은 감염과 치명적 질병에 걸릴 위험이 현저히 낮아졌다. 그런데도 공중화장실 폐쇄는 지속되고 있다. 미국은 50년째 공중화장실을 감축시키고, 영국에선 50% 정도가 폐쇄되거나 술집으로 바뀌었다. 왜 이런 정책적 오류들이 생기는 걸까.

‘보이지 않는 여자들’은 남자들이 정책 결정의 중심에 있는 동안 여자는 철저히 배제됐기 때문이라고 판단한다. 저자는 남성을 위해, 남성에 의해 설계된 이 세계가 어떻게 여성을 배제하고 있는지 다양한 방식으로 ‘증명’하고 있다. 여성 배제로 발생한 젠더 데이터 공백은 여자들을 가난하게, 아프게 만들고 심지어 죽이기까지 한다. 뭄바이의 화장실 사례는 책에 등장하는 수없이 많은 사례 중 하나일 뿐이다.

책은 아주 꼼꼼하고, 치밀하면서도 광범위하다. 방대한 자료와 사례를 바탕으로 노동, 의료, 정치 등 16가지 영역에 걸쳐 여성에게 불리한 ‘기울어진 운동장’의 실체를 밝혀낸다.

손원천 선임기자 angler@seoul.co.kr
2020-07-17 2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