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한 권 번역할 때면 문장 핏자국까지 옮겨 서늘한 느낌의 희열이…”

“책 한 권 번역할 때면 문장 핏자국까지 옮겨 서늘한 느낌의 희열이…”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6-11-13 17:14
업데이트 2016-11-13 17: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 번역가들과 교감… ‘사라지는 번역자들’ 펴낸 김남주 씨

번역가란 감내해야 할 게 많은 업이다. ‘원전에 갇히는 숙명’을 떠안고 ‘홀로 말의 봇짐을 지고’ 그 무게를 견뎌야 한다. 작가 앞에 함부로 나서서도, 텍스트를 넘어서서도 안 된다. 결국은 잘 사라져야 하는 사람들인 셈이다.

이미지 확대
김남주 번역가는 “책에 언급된 각국의 번역자들은 상대의 문화에 활짝 열려 있는 사람들”이라면서 “이들에게 감동을 받으면서 내 일에 자부심을 가지게 됐다”고 했다. 어라운드 제공
김남주 번역가는 “책에 언급된 각국의 번역자들은 상대의 문화에 활짝 열려 있는 사람들”이라면서 “이들에게 감동을 받으면서 내 일에 자부심을 가지게 됐다”고 했다.
어라운드 제공
줄곧 번역이 스포트라이트의 바깥에 있었던 이유다. 지난 5월 한강의 맨부커 인터내셔널상 수상은 우리 작가의 수상이라는 ‘사건’ 외에 번역의 의미를 전면에 등장시킨 ‘계기’가 됐다. 잘된 번역, 좋은 번역가의 역할에 대한 궁금증도 한층 달아올랐다.

이미지 확대
좋은 번역의 정의, 번역의 윤리, 직역과 의역 사이의 논란 등 번역을 둘러싼 물음들에 길을 터주는 산문집이 나왔다. 28년간 프랑스·영미 문학을 우리말로 옮겨온 김남주 번역가가 프랑스 아를의 번역자회관에서 만난 각국의 번역가들과 나눈 교감, 대화를 에세이로 묶어낸 ‘사라지는 번역자들’(마음산책)이다.

번역자회관은 세계 각국의 번역자들이 일정 기간 묵으며 번역, 저술 작업을 하고 의견을 나누는 곳이다. 김남주 번역가는 이곳에 2001년부터 세 차례, 한 번 들릴 때마다 한 달에서 석 달가량 머물렀다. 책은 그가 동료들과 공감하고 어긋나며 번역에 대한 고민과 논쟁을 나눴던 생생하고 흔치 않은 기록이다.

“처음에 제목을 생각했던 건 동료 번역자가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듣고서였어요. 그의 죽음이 여러 날 머릿속에 머물다가 기차 안에서 책을 구상하게 됐습니다. ‘사라짐’은 번역 작업에 관한 것이기도 하죠. 번역에 대한 최고의 찬사가 ‘번역 같지 않은 번역’이라면 번역자가 자신의 일을 잘할수록 도착어의 문장 속에서 사라진다는 점을 환기하는 거예요. 무슨 추리 소설 제목 같다는 얘기도 들었는데 뜬금없이 좋았어요.”

그는 책에서 ‘어떻게 유리가 되어야 할까?’ ‘어떻게 사라져야 옳은가?’ 고민한다. 28년이라는 쉽지 않은 세월을 이어온 번역 활동 끝에 그가 내린 결론은 뭘까.

“의역과 직역은 모든 문장, 하나의 문장 속에서도 엇갈리고 공존할 수 있어요. 문학 번역의 경우 ‘정서’의 전달이 중요하다고 보지만 어느 한쪽에 서야 한다면 ‘채색 유리’(직역)보다는 ‘투명 유리’(의역), ‘부정한 미녀’(직역)보다는 ‘정숙한 추녀’(의역) 쪽입니다. 좀 이율배반적이지만 번역이 그렇더라구요.”

그는 “아무래도 난 좋은 번역자는 아닌 것 같다”고 짐짓 뒷걸음치지만 완전하게 옮겨진 문장 하나에도 희열과 아득함을 느끼는 천생 번역가다.

“한 권의 책 가운데 한두 차례 문장이 완전하게 옮겨졌다, 느껴지는 순간이 있어요. 길이를 늘이지 않고도 문장의 핏자국과 땀냄새까지요. 그럴 땐 어딘가 까마득한 곳에 닿은 듯한 서늘한 느낌이 듭니다. 원래 번역을 시작한 첫 10년간은 번역을 안 할 궁리만 했었어요. 사실 지금도 그래요. ‘못하고 느리고 답답하고 대우도 못 받는군’ 한탄하곤 하죠(웃음).”

번역가인 동시에 작가로서의 글쓰기는 계속될 예정이다. 옮긴이의 말을 모아 낸 ‘우리의 프랑스식 서재’, 프랑스 문학이 지금 우리에게 말을 거는 지점을 풀어놓는 ‘나의 프랑스식 서재’의 후속편을 쓰고 있다는 그는 “제가 만난 책들, 저를 만든 책들, 제 제단에 올려진 작가들 이야기는 아마 다음다음번 책쯤이 될 것”이라고 귀띔했다.

“써야 한다고 저를 추동하는 힘이 있어요. 잘 사라지는 일을 염두에 두면 사실 안 써도 아무렇지 않다는 걸 알지만요(웃음).”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11-14 2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