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연설의 귀재 히틀러, 전형적 루저였다

대중연설의 귀재 히틀러, 전형적 루저였다

입력 2014-05-10 00:00
수정 2014-05-1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히틀러에 붙이는 주석/제바스티안 하프너 지음

안인희 옮김/돌베개/256쪽/1만 3000원

책 제목의 의미를 먼저 짚자. 그래야 저자의 의도와 책의 얼개를 알 수 있다. 아돌프 히틀러(1889~1945)를 다룬 저술들은 넘쳐난다. 그러니 여기서 더 오지랖을 넓힐 생각은 없고, 알려진 내용들에 그저 ‘소박하게’ 주석 몇 개 덧붙이겠다는 거다. 여느 인물평전에 견줘 책 두께가 얇은 건 이 때문이다. 겸양을 떨긴 했으나 실제 내용이 ‘소박한 주석 몇 개’ 담고 있는 건 물론 아니다. 히틀러의 삶과 히틀러 현상의 배경, 영향 등을 예리하게 분석하고 간결하게 요약했다.

책은 히틀러의 생애에서 시작된다. 저자가 보건대 히틀러의 56년 생애를 관통하는 단어는 ‘결핍’이다. 비상한 ‘정치적 삶’과 대칭되는 그의 ‘개인적 삶’은 믿기지 않을 만큼 앙상했다. 교육, 직업, 사랑, 우정 등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필수 요소들은 감쪽같이 빠져 있었다.

인생 초년의 히틀러는 전형적인 ‘루저’였다. 이게 변하기 시작한다. 단초는 이민이었다. 히틀러는 원래 오스트리아에서 살았다. 하지만 그는 국운이 기운 나라에서 병역의 의무를 다할 생각이 없었다. 그런 그가 선택한 나라가 바로 독일이었다. 이때가 1913년. 이듬해 제1차 세계대전이 터졌다. 그는 이 전쟁에서 펄펄 난다. 그의 가슴에 정치가로서의 열망도 꿈틀댔다.

결정적인 계기는 1919년에 있었다. ‘도이치 노동자당’의 대표였던 히틀러는 대중 연설에 탁월한 능력을 가진 자신의 모습을 본다. 저자는 이를 “대중에게 집단 오르가즘 같은 것을 느끼게 해 조종 가능한 단일 집단으로 바꾸는 능력”이라고 표현했다. 또 있다. 죽어 가는 상대를 찾아 처리하는 본능이다. 저자는 이를 “정치가에게 매우 쓸모 있는 본능으로, 독수리의 시력보다는 콘도르의 후각에 비할 만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런 능력을 이용해 마침내 권력을 ‘횡령’했다.

히틀러의 후반부 삶에 대해 저자가 내놓은 결과론도 색다르다. 히틀러 사후에 세계의 패권 구도는 달라졌다. 소련과 미국이 강자가 됐고, 유럽 제국주의는 힘을 잃었다. 유대인은 이스라엘을 세워 중동의 강자가 됐다. 책날개에 적힌 “좋든 싫든 오늘 이 세계는 히틀러의 작품”이란 문구는 바로 이 대목에서 비롯됐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4-05-10 19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