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아이들을 위한 응원 같은 동화

다문화 아이들을 위한 응원 같은 동화

입력 2014-05-03 00:00
업데이트 2014-05-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는 인도 김씨 김수로/윤혜숙 지음/오윤화 그림/사계절 펴냄/172쪽/8800원

오늘도 수로네 반에서는 어김없이 ‘패밀리가 떴다’가 열렸다. 김씨 패밀리, 이씨 패밀리 패가 갈렸다. 엄지손가락을 치켜든 반장 민준이는 “우리 집안은 조선을 세운 왕족”이라며 침을 튀긴다. 수로는 김씨 패밀리의 손가락 탑 위에 손을 보탠다. 아이들은 하나둘 손가락 탑에서 손을 비틀어 빼낸다.

이미지 확대
“너한테는 사자한, 모하마드, 간디… 아니 그것보단 카레, 이런 게 어울린단 말이지.”

수로는 귀화한 인도인 아빠에게서 태어난 아이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넉살 좋은 수로라도 한국말을 쓰며 함께 운동장을 뛰어논 아이들에게 ‘다문화’, ‘가짜’로 불리는 건 가슴에 생채기가 그어지는 일이다.

그런데 아빠는 뭐가 그리 신나는지 스스로 ‘인도 김씨 시조’라 이름 붙이며 늘 벙싯거린다. 또 수로왕에서 이름을 딴 아들 수로가 인도 김씨를 일으킬 2대손이라고 자랑하기 바쁘다. 겉으로는 활기찬 아빠지만 그런 아빠가 꼼짝 못하는 사람이 있다. 대목(大木)인 외할아버지다. 매번 외할아버지의 목공방으로 몰래 찾아드는 아빠를 외할아버지는 호통치며 내쫓기 일쑤다. ‘토종이 아니다’는 이유로 친구들에게서 내몰리는 수로는 외할아버지도 같은 이유로 아빠를 내치는 거라 믿고 있다.

미묘한 차이라도 놓치지 않고 금을 그어 밀어내는 아이들과 수로. 속정은 깊지만 외국인 사위에게 쉽사리 마음과 기회를 내주지 않는 외할아버지와 아빠. 수로는 같은 고민을 공유하고 있는 아빠로부터 상대와 대립각을 세우기보다 한 겹씩 포개지며 겹쳐지는 지혜를 배워 나간다. ‘다름’을 ‘틀림’으로 함부로 재단하는 아이들이 일견 잔인해 보이지만 차이를 알아채는 동시에 포용할 줄 아는 아이들의 성장이 대견하다. ‘다문화’로 상처받고 상처를 주는 아이들에게 작가가 건네는 ‘응원’ 같은 동화다. 초등 고학년.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5-03 1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