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속소설 ‘자유부인’ 쓰고도 문학전집에 살아남은 정비석

통속소설 ‘자유부인’ 쓰고도 문학전집에 살아남은 정비석

입력 2013-12-05 00:00
업데이트 2013-12-05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탄생 100주년 기념 논문 연구서로 묶어 첫 출간

소설가 정비석(1911~1991)의 작품 세계를 본격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연구서가 나왔다.

소설가 정비석
소설가 정비석
1926년 ‘졸곡제’로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이듬해 ‘성황당’으로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돼 순수문학 작가로 출발한 정비석은 1954년 서울신문에 연재해 폭발적인 인기를 끈 ‘자유부인’을 기점으로 대중문학 작가로 인식되면서 순수문학 위주의 문학사에서 아예 배제되거나 홀대받는 등 제대로 조명받지 못했다.

이영미 성공회대 초빙교수와 최애순 고려대 연구교수 등 6명의 학자가 함께 쓴 ‘정비석 연구’(소명출판)는 순수문학과 대중문학의 이중적 위치에 걸쳐 있는 작가의 모든 시기, 모든 소설을 섭렵해 포괄적이고 입체적인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책은 2011년 정비석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대중서사학회가 개최한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수정·보완한 것이다. 정비석의 장편 연애·세태소설 변화 양상, 1950년대 신문소설과 역사문학, 그리고 정비석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등에 관한 글을 통해 그의 작품 세계를 폭넓게 들여다볼 수 있다.

특히 정비석의 문학사적 위치에 관한 최 교수의 논문이 눈길을 끈다.

최 교수는 ‘정비석과 전집의 정전화 논리’에서 “‘성황당’과 ‘자유부인’의 간극만큼이나 정비석은 문학사에서 독특한 위치를 점유한다. 대중문학 작가이면서 전집에서 살아남은 거의 유일한 작가”라고 풀이했다. 정비석은 1973년 김현·김윤식의 ‘한국문학사’를 비롯해 문학사 기술에서 아예 언급되지 않거나 소홀히 다뤄졌지만 ‘성황당’만큼은 전집에 지속적으로 수록됐다.

최 교수는 이에 대해 “순수문학 위주로 전집을 구성하려는 의도에서 보면 정비석의 장편은 배제되어야 마땅하고 정비석 역시 배제되어야 할 작가로 분류되지만 전집의 또 다른 구성 요소인 대중적 인지도나 출판사의 판매 욕구 등의 관점에서 보자면 반드시 들어가야 할 작가로 분류된다. 그래서 전집의 편찬 위원들이 택한 작품이 ‘성황당’이었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정비석이 문단에서 쌓은 개인적 인맥과 친분 등도 영향을 미쳤다고 했다.

이순녀 기자 coral@seoul.co.kr

2013-12-05 2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