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성 삐끗하면 총성

충성 삐끗하면 총성

입력 2013-08-24 00:00
업데이트 2013-08-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위험한 충성/에릭 펠턴 지음/윤영삼 옮김/ 문학동네/304쪽/1만 5000원

우리는 흔히 ‘충성’이라고 하면 단어에 내포된 미덕보다는 군대 이미지를 먼저 떠올리며 의무의 대명사쯤으로 해석하게 된다. 긍정보다는 부정적인 뉘앙스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군 복무 경험을 한 남성들이라면 ‘충성’이라는 경례 구호와 함께 ‘무조건적인 복종’과 ‘상명하복’을 떠올리기 십상이다. ‘충성맹세’라는 말도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 ‘저질 충성’이라는 말도 생겨났다.

미국의 공립학교 학생들이 매일 수업 시작 전에 암송하는 구절이 있다. ‘미 합중국 국기와 그것이 상징하는 국가에 대한 충성을 맹세합니다. 우리는 하나님 아래 하나의 나라이며 나뉠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는 모든 이를 위한 자유와 정의의 나라입니다.’ 우리의 ‘국기에 대한 맹세’도 비슷하다. ‘나는 자랑스러운 태극기 앞에 자유롭고 정의로운 대한민국의 무궁한 영광을 위하여 충성을 다할 것을 굳게 다짐합니다.’ 그렇다면 ‘충성’은 부정적이고 권위적인 의미로만 받아들이는 것이 타당할까. 충성이 진부하다면 왜 우리는 충성을 찬미할까.

신간 ‘위험한 충성’은 이런 질문을 던지면서 충성은 ‘우리 삶을 살 만한 것’으로 만드는 근본 중에서도 근본임을 강조하고 있다. 충성이 없으면 사랑도 존재할 수 없으며 가족과 친구도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책에서는 충성을 ‘신뢰’가 그 근본에 놓여 있는 ‘믿을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미덕’으로 재정의하고 있다.

그러면서 충성을 이해하기 시작하면 이 말이 수많은 함의를 지닌 다층적 단어임을 알게 해 준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예컨대 충성, 충실성, 믿음, 신뢰, 의리, 헌신, 강조 등이 그런 것들이다.

이런 설명과 함께 충성은 전쟁과 같은 극단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높은 산을 함께 등정하는 팀원들의 생사를 갈라놓는 실제적인 힘이 되기도 함을 예시한다. 이렇게 ‘믿을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미덕’으로 바라볼 때 비로소 충성이 가진 본질적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충성과 배신의 드라마는 인간의 역사이며 충성은 우리를 위험에서 보호해 주지만 다른 한편으로 새로운 위험을 무수히 안겨 주는 기묘한 미덕이라고 주장한다.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3-08-24 2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