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트병 배’로 1만 6000㎞ 바닷길 왜 나섰나

‘페트병 배’로 1만 6000㎞ 바닷길 왜 나섰나

입력 2013-08-10 00:00
업데이트 2013-08-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플라스티키, 바다를 구해줘]데이비드 드 로스차일드 지음 우진하 옮김/북로드/288쪽/1만 8000원

2010년 3월 20일, 플라스틱 페트병 1만 2500개로 만든 배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금문교를 출발한다. ‘플라스티키’라 불리는 이 배의 목적지는 호주 시드니. 샌프란시스코에서 시드니까지의 거리는 약 1만 6000㎞, 배의 속력은 시속 4㎞에도 미치지 못하는 시속 2노트다. 이 무모해 보이는 항해의 목적은 뭘까. 게다가 배의 주인은 세계 최고의 부자라는 로스차일드 가문의 막내아들 데이비드 드 로스차일드다.

페트병 1만 2500개로 만든 배 ‘플라스티키’를 타고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호주 시드니로 항해 중인 데이비드 드 로스차일드. 북로드 제공
페트병 1만 2500개로 만든 배 ‘플라스티키’를 타고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호주 시드니로 항해 중인 데이비드 드 로스차일드.
북로드 제공
플라스티키의 항해를 따라가기 전에 우선 그의 특이한 이력을 살펴보자. 1978년 영국에서 태어난 그는 10대를 말 위에서 보낸 승마 선수였다. “삶에는 말 위에서의 시간보다 많은 것이 있다는 것을 깨달아” 대학에 진학해 정치학을 공부한다.

스무살에는 음악에 관련된 사업에 손을 대고, 스물세살에는 뉴질랜드 유기농 농장을 매입한다. 그러다 2006년 우연히 친구의 손에 이끌려 극지방 탐험에 동행한다. 탐험가의 삶에 매혹된 그는 환경단체 ‘어드벤처 에콜로지’를 설립하고 환경운동가가 된다. 가끔 캐머런 디아즈 같은 유명 배우와 염문설을 뿌리기도 하면서.

로스차일드가 플라스티키를 구상하게 된 것은 바다 위 플라스틱 폐기물이 1㎢당 1만 7800개에 달한다는 유엔의 보고서를 읽으면서부터다. 바다는 하나의 거대한 쓰레기통이 됐다. 북태평양 환류에 쌓인 쓰레기 더미는 미국 텍사스 주의 2배에 이른다. ‘플라스틱트로스’는 이런 환경오염의 결과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하고 위장과 식도가 막혀 죽는 앨버트로스 새끼가 매년 전체의 30~40%로 추정된다. 먹이사슬을 통해 인간에게 전달되는 플라스틱은 체내에서 호르몬 이상 반응을 일으킨다.

그러나 “플라스틱에게는 죄가 없다”는 말처럼 로스차일드는 플라스틱 폐기론 같은 극단적 주장을 펼치지 않는다. 이들이 플라스티키를 통해 증명하려는 것은 플라스틱을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줄이고 산업적 가치를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세레텍스라는 재생 가능한 플라스틱 물질을 만들고, 강화된 탄산 음료수병을 이용해 배를 건조하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물론 완벽한 배가 아닌 만큼 여정은 쉽지 않다. “자기 무덤을 파는 일”이라는 조롱도 받는다. 그러나 여섯 명의 선원을 실은 배는 마침내 7개월의 항해를 끝내고 시드니에 닿는다.

로스차일드는 플라스티키의 건조와 항해 과정, 선원들의 사연과 환경문제 등을 다양한 사진과 함께 풀어낸다. 수조원대의 자산가에 환경보호도 실천하는 ‘개념남’이지만 너무 질투할 필요는 없다. 신이 그에게 글솜씨까지 주지는 않았으니까.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

2013-08-10 1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