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보·계보나무·통계 그래프·미술관 웹사이트까지…독창적인 눈으로 들여다본 ‘시각적 표상’

연보·계보나무·통계 그래프·미술관 웹사이트까지…독창적인 눈으로 들여다본 ‘시각적 표상’

입력 2013-08-10 00:00
업데이트 2013-08-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간 지도의 탄생] 대니얼 로젠버그·앤서니 그래프턴 지음 김형규 옮김/현실문화/360쪽/4만 4000원

연표란 역사적 사실을 순서에 따라 표로 정리한 것이다. 역사적 사건이 일어난 시기와 바뀌어 온 모습, 역사의 전반적 흐름을 알기 쉽게 해 놓은 것이 특징이다. 책으로 된 것, 보관하기 쉽게 가로로 만든 것, 그림이나 사진을 넣어 만든 것 등 그 모양도 다양하다. ‘시간 지도의 탄생’은 한마디로 ‘연표의 역사서’다.

저명한 역사학자들인 두 저자는 “역사가들이 문자로 기록된 사료만을 중요한 분석 대상으로 삼아왔을 뿐 시각적 표상이 제기하는 형식적이고 역사적인 문제들에 대해서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면서 “시각적 표상이 정보를 조직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 가운데 하나인데도 역사 차트나 도표에 관한 저술은 거의 존재하지 않아 이 같은 책을 낸다”고 밝히고 있다.

책은 서구의 고대와 중세, 근대, 오늘날을 종횡으로 오가며 연보, 계보나무, 지도, 통계 그래프, 미술관 웹사이트에 이르기까지 온갖 종류의 시각적 표상에 대해 꼼꼼하고 독창적인 해석의 잣대를 들이댄다. 지은이들이 이처럼 다양한 이미지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하는 시간의 흔적은 다름아닌 선(線)이다. 역사가들은 강의실에서 흔히 타임라인(timeline)이라고 부르는 간단한 선형(線形) 도표를 활용해 무겁고 따분한 역사서를 박진감 넘치는 이야기책으로 멋지게 변신시킨다.

미국 시카고대 W J T 미첼 교수(미술사)의 말마따나 우리는 시간이 ‘길다’ ‘짧다’고 말한다. 또 시간의 ‘전’과 ‘후’를 얘기하고 시간의 ‘간격’을 말한다. 시간의 선들은 어느 곳에서는 노골적으로 자신을 드러내고 다른 곳에서는 눈에 띄지 않게 숨어 있지만, 어쨌든 그 모든 시간의 시각적 표상 속에 확고하게 존재한다.

연보 등의 자료와 관련해 서구의 것들만 사용하고 한국, 중국 등 동양의 것들이 전혀 눈에 띄지 않은 점이 다소 아쉽다. 하지만 역사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나 역사학자, 역사학도라면 책이 다루는 내용의 방대함과 수준 높은 논의에 시선을 줄 만할 것 같다.

유상덕 선임기자 youni@seoul.co.kr

2013-08-10 1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