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단한 숫돌처럼 난 절대 물러서지 않을 거예요” 여덟 살 이누이트 소녀의 ‘세상 도전기’

“단단한 숫돌처럼 난 절대 물러서지 않을 거예요” 여덟 살 이누이트 소녀의 ‘세상 도전기’

입력 2013-08-10 00:00
업데이트 2013-08-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 이름은 올레마운] 크리스티 조던 펜톤· 마거릿 포키악 펜톤 지음 가브리엘르 그리마드 그림/김선희 옮김/산하/36쪽/1만 1000원

여덟 살 이누이트 소녀 올레마운은 아는 것도 많다. 아버지가 순록을 잡으러 가면 썰매 개를 지킬 줄도, 북극해가 얼음 옷을 벗으면 아버지가 바다 건너 털가죽을 팔러 간다는 것도 안다. 하지만 이야기가 너무도 궁금한 바다 건너 사람들의 책은 아무리 들여다봐도 모르겠다. 무슨 영문인지 아버지는 딸을 학교에 보내지 않는다. 겨우내 매달려 승낙을 받아낸 올레마운. 꿈꾸던 학교이지만 첫날부터 올레마운은 흙탕물을 뒤집어쓴 듯 모욕감에 휩싸인다.

수녀님은 곱게 땋은 소녀의 머리칼을 싹둑 잘라낸다. ‘울루 칼을 가는 숫돌’이라는 뜻을 지닌 멋진 이름도 빼앗기고, 마거릿이라는 생경한 이름을 얻는다. 책상에는 앉아보지도 못하고 교실 청소에 설거지, 빨래에 내둘린다. 도망칠 궁리를 하던 소녀는 마음을 고쳐먹는다. 스스로 변화를 만들어 내기로.

“내 이름은 올레마운입니다. 우리 이누이트 여자들이 울루 칼을 갈 때 쓰는 단단한 숫돌처럼, 나는 절대로 물러서지 않을 거예요.”

‘날고기를 먹는 사람’이라는 뜻의 에스키모로 세상에 알려졌지만, ‘사람’이라는 뜻을 지닌 이누이트들의 이야기다. 배경은 1940년대 캐나다 노스웨스트 북서부 마을 어클라빅. 이누이트들을 문명인으로 교육시킨다며 기숙학교를 세워놓고 어린이들을 학대한 곳이다. 캐나다 총리는 2008년 이를 뒤늦게 사과했다. 지은이 두 사람은 고부 사이다. 시어머니의 어린 시절 아픈 기억을 며느리가 글로 되살려 보듬어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3-08-10 1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