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와 차 한 잔] ‘논어’ 입문서 펴낸 신정근 교수

[저자와 차 한 잔] ‘논어’ 입문서 펴낸 신정근 교수

입력 2012-10-27 00:00
업데이트 2012-10-27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너 자신을 알라’ 공자도 대선후보에게 말하겠죠”

인문고전 열풍 속에 서점에는 ‘논어’에 대한 각종 해설서와 주석서, 입문서가 나와 있다. 논어에 대한 대중강의와 글쓰기를 해 온 신정근(성균관대 유학동양학부) 교수가 여기에 입문서 한 권을 보탰다. 한길사 인문고전 깊이읽기 시리즈로 나온 신 교수의 ‘논어’는 뭐가 다를까.

신정근 교수
신정근 교수
가을색이 완연한 지난 24일 성균관에서 만난 신 교수는 “핵심 키워드를 뽑고, 책의 구조와 어떻게 물려 있으며 공자가 뭘 말하려 했는지 분석했다.”고 말했다. 그가 뽑아낸 핵심 키워드는 학(學), 명(命), 의(義), 군자(君子)와 소인(小人), 예(禮)와 서(恕), 미(美), 정(政), 인(仁), 효(孝)와 명(名) 등 총 아홉 가지. 신 교수는 특히 논어가 ‘학이시습지’의 배울 ‘학’자로 시작해 마지막 요왈 편에서 ‘부지명’의 목숨 ‘명’자로 마무리하는 것에 주목한다.

“시작과 마무리에 ‘학’과 ‘명’을 각각 배치한 것은 다분히 의도적이라고 봅니다.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는 절대신을 믿지 않습니다. 삶을 향상시키는 유일한 방법은 스스로 배우고 노력하는 것밖에 없습니다. 그러면서도 인간으로서 자신의 한계를 알아야 한다는 것이 ‘명’입니다. ‘부단히 노력하되, 한계를 알아야 한다’는 동아시아 문화의 특징을 함축적으로 보여 주는 것입니다.”

노력은 하되 한계를 알고 제동을 걸 줄 알아야 한다는 얘기다.

무언가를 배운다는 것은 더 나은 삶을 위해 필요하다. “인간은 완벽한 인간성을 가진 군자와 사리사욕을 탐하는 소인의 측면을 동시에 갖고 있다고 봅니다. 모든 문제의 원인이 나에게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배우고 반성하고 노력하면 군자의 측면이 늘어나는 것이며, 그런 사람이 위정자가 되면 사회가 좋게 변화할 수 있으니 즐겁게 배우라고 공자는 가르쳤습니다.”

논어가 2500년이 더 지난 지식정보화시대에 각광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논어에는 인생만이 아니라 정치, 사회, 경제, 문화와 관련해서 많은 질문과 대답이 오갑니다. 당대 ‘실패한 인간’으로 평가받았던 공자가 끝없이 고뇌하고 사색해서 얻은 해답들입니다. 인간이기에 부딪치는 질문들에 공자가 먼저 답을 한 것이죠. 그래서 논어는 처음에는 공자의 이야기이지만 몇 번 읽다 보면 결국 나 자신의 이야기를 읽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시대를 초월하는 것은 당연하죠.”

논어의 중심사상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인’이다. 신 교수는 인의 개념을 사랑으로 확장한다. 남녀 간의 사랑에 국한되지 않는 아주 큰 사랑을 말한다. “오늘날 이상으로 갈등하고 대립하던 시대를 살았던 공자는 평화와 화합을 일궈내는 덕목으로 ‘인’에 주목했습니다. 인은 공평무사한 큰 사랑입니다. 내가 하기 싫은 것은 남에게도 시키지 않는 것이나 예법은 이를 실현하는 데 필요한 덕목들입니다.”

공자의 사상 중 현재 우리 사회에 가장 필요한 가치는 무엇일까. 그는 ‘의’와 ‘리’의 조화라고 답했다. 경제민주화, 상생과 경제정의를 논하는 요즘, 이익과 정의에 대해 새롭게 관계 설정을 해야 하는데 가장 큰 원칙을 견리사의(見利思義·눈앞의 이익을 취함에 그것이 의리에 합당한지 먼저 생각하라)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경제적 이익 추구가 부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반드시 정의에 부합돼야 합니다. 대기업이 골목 상권에서 돈을 벌어가는 걸 당연하다고 볼 수도 있지만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것이라면 정당하다고 볼 수 없죠.”

공자가 우리나라의 대선 후보들에게 무슨 말을 해 주고 싶어 할지 묻자 신 교수는 주저 없이 수기안인(修己安人·자기 수양을 하고 나서 사람들을 편안하게 해 준다)과 박시제중(博施濟衆·넓게 베풀고 여러 사람을 구제하라)을 꼽았다. “대통령이 되려고 나서기 전에 수기가 되어 있는지 따져 봐야 합니다. 자기 절제를 할 줄 아는 사람이라야 다른 사람을 편안하게 해 줄 수 있습니다. 한 나라의 최고 지도자가 된다는 건 모든 사람의 고통을 해결하는 역할을 맡는 것입니다. 국민을 두 편으로 갈라 자기를 지지하는 사람에게는 많은 도움을 주고, 아닌 사람들은 무시해 버린다면 그건 대통령이 아니고 소통령이죠.”

글 함혜리 영상에디터 lotus@seoul.co.kr

사진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2012-10-27 1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