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삼국통일은 한민족의 ‘위대한 역사’

신라 삼국통일은 한민족의 ‘위대한 역사’

입력 2012-10-27 00:00
업데이트 2012-10-27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라가 한국인의 오리진이다】 이종욱 지음 고즈윈 펴냄

‘고구려는 수·당에 맞서 민족을 지키기 위해 몸무림쳤고, 신라는 외세를 끌어들여 동족의 나라를 멸망시킨 왕국.’ 우리 교과서로 국사를 공부한 이라면 대개 갖게 된다는 인식이다. 여기에 얹어 ‘신라가 삼국통일을 하는 바람에 한민족 무대가 한반도로 쪼그라들었다.’는 사실 또한 역사 교육이 낳은 보편적인(?) 생각으로 통하는 듯하다. 신라는 민족을 배신한 나라였고 신라의 삼국통일은 한민족에 해악을 끼쳤다는 것이 사실일까.

‘신라가 한국인의 오리진이다’(이종욱 지음, 고즈윈 펴냄)는 고대왕국 신라의 위상과 신라의 삼국통일을 지금 역사교육과 연결해 다시 한번 곱씹게 하는 역사 해설서이다. 서강대 총장인 저자가 서울대 사학과 중심의 주류 한국사학계를 신랄하게 비판해 대중적인 논란과 파장을 예고하는 시빗거리이기도 하다. 저자는 현재 주류 사학계를 ‘관학파’라 부르며 줄곧 한국인의 근원이 신라임을 주장해온 사학자다. 무엇보다 그는 단군과 고조선을 한민족의 시원으로 삼는 역사 교육을 창출해 보급시킨 ‘관학파’가 일제하 식민사관을 극복하지 못한 오류를 남겼다고 비판한다.

저자는 “단군, 고조선, 고구려, 백제도 모두 빼놓을 수 없이 중요한 우리 역사”라는 전제 아래 “그러나 신라와 신라의 삼국통일을 폄하하고 왜곡한 건 위험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폄하와 왜곡의 결정적 실수는 신라 내물왕 이전의 역사를 무시한 채 제대로 보지 못한 탓으로 보고 있다. 이른바 일찍부터 한반도의 삼한지역을 다스렸다는 일본의 ‘임나일본부설’에 힘을 보태는 식민사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주장이다.

책은 신라길 1·2로 나누어 신라의 백제·고구려 정복과 망국까지의 유적군과, 신라의 국가 형성부터 성골 왕 시기까지의 유적군을 찾아 한국·한국인의 근원(오리진)이 신라임을 설득한다. 고려기에 편찬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조선시대의 ‘삼국사절요’를 비롯한 여러 사서 속 신라 관련 부분을 토대로 신라의 역사를 입체적으로 새롭게 편성해 내는 구성이 독특하다. 저자는 책에서 무엇보다 “당나라의 힘으로 고구려와 백제를 정복한 신라를 부끄럽게 여기지 않고 신라의 삼한 통합에 따라 한국인은 신라인 중심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일관되게 중시한다. ‘신라는 그들을 위협하는 고구려·백제를 정복하고 스스로를 지켜냈을 뿐’이라는 주장에서 날이 선다.

신라는 삼국통일 이후 옛 고구려인이나 백제인을 지배해 정복 토지를 나누어 가졌다. 9세기 중반 이후 신라 왕정이 무너질 조짐이 일자 경주 사람들이 땅과 노비가 있는 지방으로 이주해 고려, 조선으로 이어지는 지배세력으로 자리잡았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책에서는 1985년과 2000년 실시한 인구 센서스를 들어 다수의 한국인이 신라인을 시조로 하는 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도 공개한다. 서강대 교수 시절 마지막 안식년을 경주에서 살면서 쉬지 않고 유적을 찾아다녔다는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역사가 바뀔 수 있는 것인가? 그렇다. 과거에 있었던 사건이나 사실은 변할 수 없으나 그것을 이야기하는 역사는 바뀔 수 있다.” 1만 6800원.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2-10-27 1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