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글프거나 이색적인 선조들의 여행 이야기

서글프거나 이색적인 선조들의 여행 이야기

입력 2012-07-21 00:00
업데이트 2012-07-21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선사람의 조선여행】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엮음/글항아리 펴냄

흔히 여행은 마냥 즐겁고 설레는, 일상으로부터의 유쾌한 일탈로 간주되곤 한다. 하지만 여행은 과연 그렇게 좋기만 한 것일까. 그 사연과 목적에 따라 고달프고 때로는 서글픈 것일 수도 있다. 그러면 시계추를 거꾸로 돌려 만나는 조선시대 사람들의 여행 풍경은 어떤 것일까. 지금과는 사뭇 다른 여행이고 일탈은 아니었을까.

‘조선사람의 조선여행’(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엮음, 글항아리 펴냄)은 그런 의문에 콕 찍어 답을 주는 흥미로운 책이다. 규장각이 시도하고 있는 교양총서 시리즈의 7번째 작품.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을 중심으로 한 전문가들이 500년 조선과 한말 사람들의 여행기를 재미있게 풀어내고 있다. 모두 13개의 테마로 나눠 소개되는, 다양한 신분이며 계층의 사람들과 연결된 여행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조선의 역사와 생활상을 알게 되는 흐름이다.

신분과 환경에 얽매여 쉽사리 일상을 박차지 못했던 많은 이들은 ‘누워서 노니는’ 와유(臥遊)를 택했다고 한다. 조선 선비들은 산수를 유람한 기행문을 읽거나 돌로 만든 인공산인 석가산(石假山)을 만들어 와유를 즐겼다.

남성에 비해 제약이 많았던 조선 시대 여성들은 당연히 여행에서도 자유롭지 못했다. 산천을 유람하는 여성들은 ‘바람난 여자’로 낙인찍히는 세상이었으니 집 가까운 곳에 구경거리가 있어도 ‘그림의 떡’일 뿐이었다. “인생이 얼마나 길다고 그러느냐, 죽으면 끝인데 만금으로도 못 고칠 내 마음의 통증을 고쳐준다 생각하라.”며 남편에게 간청해 함흥의 명승고적을 둘러봤던 의유당 남씨의 유람기가 가슴을 친다. 정치적 시험의 장이 된 사도세자의 온천여행 이야기도 가슴 절절하다.

책은 여행을 통해 조선시대 사람들의 속살을 들여다보게 하지만 결국 독자들에게 세상을 새롭게 보는 지혜를 던져 주고 있는 셈이다. 2만 5000원.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2-07-21 1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