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이 뭐가 나빠~ 잘만 하면 藥이지

경쟁이 뭐가 나빠~ 잘만 하면 藥이지

입력 2012-04-14 00:00
업데이트 2012-04-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러쉬】 토드 부크홀츠 지음 청림출판 펴냄

역발상이다. 러쉬(토드 부크홀츠 지음, 장석훈 옮김, 청림출판 펴냄)를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경쟁은 아무런 잘못 없다.’이다. 죄를 저지르는 사람이 나쁘지 죄에게 무슨 죄가 있냐던 영화 ‘넘버 3’ 마동팔 검사의 명대사가 떠오른다. 하기야 경쟁을 일삼는 이들이 나쁘지 경쟁 자체가 대체 무슨 죄란 말인가. 출판사는 아예 ‘행복전도사들의 대책 없는 경쟁혐오론에 대한 반박과 논쟁적 제언’이란 홍보문구를 붙여 뒀다. 홍보문구는 과장이 섞이게 마련인데, 이번 경우는 너무 정확하다.

저자도 원래 행복전도사 같은 책을 구상했다고 한다. 그 와중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졌고 “추상 같은 문체로 윽박지르듯 쓰던 내 글은 더욱 탄력을 받았다.”고 했다. 그러다 어느 순간 그간 써둔 원고를 다 내다버리고 처음부터 다시 썼다. 저자는 경쟁 덕분에 이만 한 문명사회를 이뤘고, 그랬기에 비문명사회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악덕들을 물리칠 수 있게 됐다고 본다. 경쟁이 문제가 아니라 어떤 경쟁이냐가 중요하다는 항변이다. 저자는 경쟁 자체를 없애자는 사람들을 에덴주의자라 부르면서, 경쟁 없는 낙원사회를 꿈꾸는 독자들에게 영화 ‘매트릭스’의 모피어스처럼 빨간 약을 불쑥 내민다.

그가 내민 수많은 빨간 약 가운데 가장 대중적인 소재를 꼽자면 제인 구달의 침팬지 연구를 들 수 있다. 이 연구는 구달과 침팬지가 함께 행복하게 뒹구는 에덴동산 이미지의 사진을 대량으로 제공해서 중요한 게 아니다. 고릴라의 대체물로 침팬지를 제시해서다. 진화론 자체에 대한 반감이 줄어든 뒤 그렇다면 인류의 원래 조상은 어떠했을까라는 질문이 나왔을 때 제시된 대답은 고릴라였다. 원시적이고 폭력적이고 잔혹한 이미지였다. 문명의 정점인 미국 뉴욕의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에 거대한 고릴라 한 마리를 기어오르게 했던 영화 ‘킹콩’이 1933년 개봉한 것도 이런 시대 분위기를 반영한 것이다.

그런데 구달은 침팬지로 대체했다. 에덴동산 같은 사진에 대중들이 열광한 것처럼, 전문가들도 인류의 조상이 흉측하고 무서운 고릴라가 아니라 영특하고 평화롭게 모계중심 사회를 꾸린 침팬지라는 사실에 만족해했다.

그런데 숨겨진 사실이 있다. 바로 ‘4년 전쟁’이다. 어미가 새끼를 살해해서 잡아먹는 지경에 이르는, 침팬지 간의 참혹하고도 기나긴 전쟁이 벌어진 것이다. 인간이 경쟁을 통해 문명사회를 이룩하지 않고 비경쟁적인 낙원에서 침팬지처럼 살았다면? 경쟁 자체보다 잘 경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저자 이름을 보면 경제학사를 맛깔스럽게 풀어냈던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류현 옮김, 김영사 펴냄)를 기억하는 독자들이 있을 것이다. 서양식 유머를 섞어 밉지 않게 자기 주장을 펼치면서 독자들을 웃기는 필력은 여전하다. 그가 경제학자라는 점에 주목한다면 7장 ‘금리가 인간을 화합하게 한다’는 꼭 읽어볼 만하다. 1만 8000원.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04-14 1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